[이슈+] "넥슨 매각 철회되나"…비싼 가격에 본입찰 연기

넥슨 매각 본입찰 두번째 연기
매수자와 가격차 좁히지 못해
매각 이슈 장기화 될 가능성도
국내 최대 게임회사 넥슨 매각을 위한 본입찰이 연기됐다. 지난 4월 연기된 이후 두 번째다. 지분 매각 가격이 예상보다 비싸 적당한 매수자를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매각 계획이 철회된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15일로 예정된 넥슨 본입찰이 연기된 것으로 확인됐다. 김정주 NXC 대표가 매각 가격으로 15조원 이상을 기대하면서 매수자와의 가격차가 좁혀지지 않은 것이다. 넥슨 창업자인 김 대표는 올 초 자신과 아내 등이 보유한 NXC 지분 전량(98.64%)을 매물로 내놨다. 넥슨은 NXC의 자회사다. 매각 가격은 8조원에서 1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매각 주간사로 도이치증권 뉴욕 지점과 모건스탠리 멘로파크 지점이 나섰고, 2월 컨소시엄 가운데 5곳의 적격 예비 인수 후보를 지정했다. 구체적으로 ▲카카오 컨소시엄 ▲텐센트 컨소시엄 ▲MBK파트너스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베인캐피털이다.

중국 최대 게임업체인 텐센트가 가장 유력하게 거론됐다. 텐센트는 카카오와 넷마블의 지분을 갖고 있는 업체로 넥슨 측으로만 매년 1조원에 달하는 로열티를 지불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본입찰이 연기되면서 매각 이슈가 장기화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분 가격을 높게 받으려는 김 대표와 매각 이슈를 장기화해 기업 가치를 하락시키려는 매수자들의 눈치 싸움이 벌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본입찰이 연기됐다는 건 최악의 경우 매각 계획이 철회될 수도 있다는 의미"라며 "명확한 건 아무 것도 없지만 좋지 않은 상황인 건 분명하다. 유찰되거나 특정 컨소시엄과 계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고 말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