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 '北발사체' 정보 공유…靑 "비핵화 협상 재개 방안 논의"

문 대통령, 트럼프와 35분간 통화
트럼프 "韓, 대북 식량지원 긍정적"
문재인 대통령은 7일 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고 비핵화 협상 재개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상 간 통화가 끝난 뒤 브리핑을 통해 “양 정상은 이번 발사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대화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면서 가능한 한 조기에 비핵화 협상을 재개하기 위한 방안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고 전했다.두 정상은 북한이 지난 4일 함경남도 원산 부근 호도반도 일대에서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발사한 상황을 공유하고 이번 사태가 미·북 협상과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을 나눴다. 고 대변인은 “양 정상은 북한의 발사 직후 한·미 양국 정부가 긴밀한 공조하에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한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특히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신한 트위터 메시지가 북한을 계속 긍정적 방향으로 견인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 북한이 발사체를 쏜 지 13시간 만에 트위터에 “김 위원장은 내가 그와 함께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나와의 약속을 어기고 싶어 하지 않는다”며 비핵화 협상 재개 의사를 거듭 밝혔다.

양 정상이 이날 통화에서 유엔 세계식량기구의 북한 식량실태 보고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식량 지원에 긍정적 의사를 밝혀 주목된다. 고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식량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시의적절하며 긍정적인 조치가 될 것으로 평가하고 이를 지지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요청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과 관련해선 “양 정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가까운 시일 내에 방한하는 방안에 관해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오후 10시부터 35분간 이어진 한·미 정상 간 대화는 문 대통령 취임 이후 21번째 전화통화다. 지난달 워싱턴DC 정상회담 이후 26일 만의 양국 정상 간 소통이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