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광종의 시사한자] 岐(갈림길 기) 路(길 로)

유광종 < 중국인문경영연구소장 >
사람의 발길은 늘 갈림길에 닿기 마련이다. 한번 발을 들여놓은 길에서 멈춰 돌아가는 일은 벅차다. 되돌아온들 달리 뾰족한 방법도 없다. 제대로 가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좋은 길, 내가 가야 하는 길로 걸음을 옮겨야 한다.

갈림길의 한자 단어는 岐路(기로)다. 산의 갈라진 길을 지칭하는 ‘岐(기)’와 길이라는 새김의 ‘路(로)’를 합성했다. 양주(楊朱)라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는 이 갈림길을 두고 진지하게 생각을 엮은 사람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라는 한반도 버전의 속담이 예서 유래했다.그의 이웃이 양(羊) 한 마리를 잃어버렸다. 많은 사람이 양을 찾으러 나섰지만 결국 빈손으로 돌아왔다. 양주가 “왜 양을 찾지 못했느냐”고 물었다. 그들은 한결같이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할 수 없었다”고 대답했다. 양주는 그런 대답을 듣고 어두운 얼굴로 깊은 생각에 잠겼다고 했다.

이 양주의 일화는 《열자(列子)》라는 책에 등장한다. 갈림길이 많아 결국 양을 찾지 못했다는 말을 들은 양주의 이어지는 깊은 사색이 눈길을 끈다. 그의 일화는 ‘갈림길에서 양을 잃어버리다’란 뜻의 ‘기로망양(岐路亡羊)’이라는 성어로 지금까지 우리에게 전해진다.

여기서 잃어버린 양은 내가 종국에 이르러야 하는 목적 또는 진실을 의미한다. 길은 그를 찾기 위한 방도이자 방편이다. 따라서 방법을 제대로 모색하지 못하면 우리가 추구하는 진실에 도달할 수 없는 법이다. ‘기로망양’은 저 스스로 방향을 잡지 못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까를 예시하는 성어다.그 갈림길에서 양을 잃었더라도 ‘이제 다시는 잘못을 범하지 말자’는 각오로 나서면 ‘양을 잃었어도 외양간을 고치라’는 뜻의 ‘망양보뢰(亡羊補牢)’다. 우리는 ‘소 잃고 외양간 고쳐 뭘 하냐’는 핀잔 일색이지만 본래는 실패 국면에서 스스로를 보정(補正)해야 좋다는 뜻이다.

북한 핵 문제는 우리의 중요한 갈림길이다. 게다가 미국과 북한의 협상은 중대한 고비를 맞았다. 한반도 비핵화의 먼 여정 속에 나타난 또 하나의 갈림길에서 우리는 지향과 속도에 어떤 문제를 지녔는지 깊게 성찰해야 한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