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20대 청년' 발언 논란에 사과…설훈·홍익표는 ‘침묵’

홍영표 "깊은 유감·머리 숙여 사죄"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5일 국회 당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설훈 최고위원과 홍익표 수석대변인의 '20대 청년' 발언 논란에 25일 사과했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20대 청년 발언 논란을 언급하며 "20대의 절망감에 대해 기성세대이자 정치인인 한 사람으로서 미안하다"고 말했다.홍 원내대표는 “20대 청년들은 대한민국 미래의 주역”이라며 “20대가 미래 희망을 가져야 우리 사회도 있다. 그런데 지금 구조화된 불평등과 미래의 불확실성에 청년들이 짓눌려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년들은 들어가기 어려운 대기업과 공공부문, 부모 세대의 성취에 따라 인생이 좌우되는 기회의 상실, 넘어설 수 없는 기득권 세상에서 절망하고 있다. 이것이 20대의 근본적인 현실 인식"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청춘이 절망이나 상실의 동의어가 돼서는 안 된다. 빛나는 이상, 꿈꿀 수 있는 특권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며 "당과 정부가 직면한 현실에 공감하고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문재인 대통령의 국정과 민주당에 대한 20대 지지율이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추락한 가운데 당내 인사들이 연달아 20대를 비하하며 논란을 일으키자 급히 수습하고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설훈 최고위원은 지난 21일 언론 인터뷰에서 민주당에 대한 20대 지지율 하락의 이유로 '20대가 전 정부에서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탓'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설 최고위원은 "기본적으로 교육의 문제도 있다"며 "이분들이 학교 교육을 받았을 때가 10년 전부터 집권 세력들,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이었다. 그때 제대로 된 교육이 됐을까 이런 생각을 먼저 한다"고 말했다.발언 후 설 최고위원은 "내가 실언을 했느냐"고 반문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논란으로 비화된 후 공식 입장표명을 하면서도 "젊은 세대를 겨냥해 발언한 게 아니다"라며 "교육이 인간의 의식과 사고를 규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원인의 한 측면에서 교육·환경의 영향과 정책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한 것"이라고 변명해 큰 반발을 샀다.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지난 15일 국회 토론회에서 “20대가 가장 보수적인 것은 지난 정권에서 1960∼70년대 박정희 시대를 방불케 하는 반공교육으로 그 아이들에게 적대의식을 심어줬기 때문”이라고 발언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날 최고위원회의에는 설 최고위원과 홍 수석대변인도 참석했으나 20대 청년 발언과 관련한 별다른 언급은 하지 않았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