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티오뉴로젠 "쑥 추출 성분으로 세상에 없는 NASH 치료제 만들 것"

헬스케어 스타트업

쑥에서 찾은 신약 후보물질
강력한 항섬유화 효과 확인
특발성 폐섬유화증 신약도 개발
“우리가 쑥에서 찾은 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은 강력한 항섬유화 효과가 있습니다.”

윤병수 오스티오뉴로젠 부회장(사진)은 “섬유화에 천착한 끝에 섬유화를 유발하는 유전자들을 발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회사는 특발성 폐섬유화증(IPF) 치료제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두 질환 모두 아직 치료제가 없다.윤 부회장은 미국 인디애나대 의대에서 면역학·미생물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고 교수로 재직하다 2000년대 초반 한국에 돌아와 창업했다. 대사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에디포젠도 윤 부회장이 세웠다. 오스티오뉴로젠은 2013년 설립했다.

ONG21001의 효능을 발견한 것은 우연이었다. 골다공증 치료제를 개발하던 중 간섬유화와 폐섬유화를 유발하는 유전자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윤 부회장은 “리보 핵산(RNA) 시퀀스 기술을 활용해 ONG21001이 간섬유화와 폐섬유화를 유발하는 유전자를 각각 100여 개, 70여 개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했다. 2017년 관련 연구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실었다.

기존 물질의 한계를 극복한 게 ONG41008이다. 이 회사는 물질 합성 단계를 4단계로 줄여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했다. 아울러 물질의 항섬유화 효능을 망가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물질 구조를 바꿔 약물 전달 효과를 높임으로써 간섬유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게 됐다. 오스티오뉴로젠은 두 물질에 대한 특허 2건을 한국, 미국, 일본, 유럽 등에 출원했다.오스티오뉴로젠은 ONG21001 임상을 먼저 시작할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국내에서 임상1상을 진행해 안전성을 확인하고 미국에서도 임상을 시작하는 게 목표다. 윤 부회장은 “약물의 안전성을 검증한 뒤 다국적 제약사에 기술이전을 하는 게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했다. 2021년 상장하는 게 목표다.

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