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외교장관, 베이징 등 경유해 귀국…北과 조율결과 주목

中외교부, 베트남 외교장관과 접촉 여부에 답변 꺼려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인 베트남의 팜 빈 민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이 14일 2박 3일의 북한 방문 일정을 마치고 귀국길에 올랐다.민 장관은 이날 오전 평양발 고려항공 여객기를 타고 수행단과 함께 경유지인 베이징 서우두(首都) 공항에 도착했다.

그는 이번 북한 방문 길에 마이 프억 중 의전국장과 레 티 투 항 외교부 대변인, 동북아 담당국장 등을 대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귀빈 통로로 나온 민 장관은 이날 영접 나온 주중 베트남 대사와 함께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 차량을 이용해 베이징 시내로 이동했다.이에 따라 민 장관이 이날 베이징에서 중국 측과 회동해 2차 북미 정상회담 등에 대해 의견교환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측이 민 장관과 만났느냐는 질문에 "이에 대한 상황은 잘 모르겠다"며 명확한 답변을 꺼렸다.

민 장관 일행은 이날 오후 중국 남방항공편으로 광저우로 이동해 잠시 휴식을 취한 뒤 다시 다른 남방항공 연결편을 탑승, 밤늦게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후 베이징발 하노이행 정기편이 없어 이 같은 복잡한 노선을 선택했다.

또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베트남 방문이 불과 10여일 남아 북측과 조율한 결과를 지도부에 신속하게 보고하기 위해 서둘러 귀국한 것으로 보인다.

민 장관은 방북 기간 오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릴 예정인 2차 북미 정상회담의 경비와 의전 문제, 김정은 위원장이 회담을 전후해 베트남을 국빈 방문하는 문제 등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북한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민 장관은 전날 리수용 노동당 중앙위원회 국제담당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 등 북한의 외교라인 최고위급 인사를 잇달아 면담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양국이 "전통적인 친선협조 관계를 더욱 확대 발전시켜 나갈 데 대하여서와 호상(상호) 관심사로 되는 지역 및 국제문제들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교환을 진행하고 견해 일치를 보았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의 '집사'격으로 의전 문제를 총괄하는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하노이를 방문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지만, 김 부장은 이날 서우두공항에서 목격되지는 않았다.민 장관의 귀국으로 그동안 안갯속에 있던 김 위원장의 베트남 방문 형식과 일정, 의제 등이 구체화하면서 막판 회담 준비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