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애국지사·김아랑 선수 등 각계인사 10명과 신년통화

헬멧 녹는 화염 속 아이 구한 소방관·제주 여객선 구조 선장과도 통화
한국서 의사된 故 이태석 신부 남수단 제자와 신년인사
문재인 대통령은 1일 새해를 맞아 애국지사 등 사회 각계인사 10명에게 전화를 걸어 신년 인사를 전했다.문 대통령은 가장 먼저 올해 100세를 맞은 임우철 애국지사에게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물었다.

문 대통령이 "올해가 3·1운동, 임시정부 100주년으로, 생존 독립운동지사로서 감회가 새로우시겠다"고 인사하자 임 애국지사는 "지금에 오기까지 자리를 잘 잡아주셔서 감사하다"고 대답했다.

임 애국지사는 "누가 이북과 이렇게 가깝게 만들 수 있겠나"라며 "백두산에 가셨던 모습은 지금도 감동적"이라고 했다.이어 문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강원도 홍천에서 발생한 화재 당시 3세 아이를 구조한 강원도 홍천소방서 소방대원 6명과 통화했다.

이들은 헬멧이 녹을 정도로 위험한 상황 속에 뛰어들어 '화(火)벤저스'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문 대통령이 "불길이 거센 상황이었는데 위험을 무릅쓰고 어린아이를 구조하는 대단한 일을 했다"고 하자 김인수 대원은 "(내부 온도가) 1천℃를 넘는 위험한 현장이었지만 아기 엄마 목소리를 들은 터라 아이를 구조해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고 말했다.당시 아이를 구하고 받은 LG의인상 상금 전액을 순직소방관 자녀들에게 기부한 점을 문 대통령이 높이 평가하자 대원들은 "그 돈은 더 의롭게 쓰라고 주신 돈이니 당연한 일"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대원들에게 무엇보다 자신의 안전을 잘 챙겨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고(故) 이태석 신부의 제자로, 한국에 들어와 의과 공부를 해 수련의 과정을 준비 중인 남수단공화국 출신 토마스 타반 아콧 씨와 통화했다.'수단의 슈바이처'로 불린 이 신부는 2001년부터 내전이 끊이지 않은 아프리카 남수단 톤즈 마을에 병원을 세우고 헌신적인 의료 봉사 활동을 펼쳤다.

이 신부의 삶은 '울지마, 톤즈'라는 다큐멘터리로 만들어져 감동을 줬다.
문 대통령이 "전문의가 되면 어떻게 하고 싶은가"라고 묻자 토마스 씨는 "남수단으로 돌아가 봉사활동을 하고 싶다"고 대답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이 신부는 신앙으로, 토마스 씨는 의술로 봉사를 하는군요"라면서 "그 꿈을 꼭 이루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문 대통령은 또 지난해 12월 24일 제주 서귀포 여객선 좌초 신고 무전을 들은 즉시 현장으로 향해 여객선의 승객 전원을 구조한 구조선박의 선장 양정환 씨와도 통화했다.

문 대통령은 "국민을 대표해 감사 인사를 전하려 한다"며 "당시 200명에 가까운 승객을 선장께서 신속하게 구조해 사람들은 이를 '크리스마스의 기적'이라 부른다"고 말했다.

그러자 양 선장은 "저는 바다에 있는 사람이라 당연한 일을 했을 뿐"이라며 "특별히 제가 잘 한 것은 없고 당시 승무원과 해경, 해군 군함, 어선까지 모두 함께 신속하고 침착하게 대응한 게 그런 결과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지난해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쇼트트랙 3천m 계주에서 맏언니로서 후배들을 이끌고 금메달을 딴 김아랑 선수에게 전화를 걸어 올림픽 당시 선수촌에서 만났던 기억 등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문 대통령은 "올림픽 이후 빙상계 비리 등으로 어려움이 많았을 텐데 마음고생이 있지 않았나"라고 물었다.

김아랑 선수는 "어려움이 없지 않지만 많은 국민이 관심을 가져주신 것 자체가 이미 큰 변화를 겪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개선의 발판이 되고 있으니 앞으로 계속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문 대통령은 "개인적으로도 기량이 뛰어나 좋은 성적을 거둘 테지만 지금처럼 후배를 잘 이끌어주고, 국민이 김아랑 선수의 밝은 모습을 좋아하니 늘 그 모습을 잃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