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500대 기업, 4년간 M&A에 43조원 투입…삼성전자 압도적 1위

CEO스코어 분석…M&A 건수는 카카오 33개로 '최다'
국내 500대 기업이 지난 4년간 인수합병(M&A)에 약 43조원을 쏟아부은 것으로 나타났다.지난해 미국의 오디오·자동차 전장 전문업체 '하만(Harman)'을 9조2천억원에 인수한 삼성전자가 액수 면에서는 전체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였고, 건수는 카카오가 가장 많았다.

1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지난달말까지 국내 500대 기업의 M&A 실적을 조사한 결과 372개 기업 인수에 총 42조9천90억원이 투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5년 6조1천564억원(89건)에서 2016년 12조5천67억원(83건)에 이어 지난해 15조666억원(117건) 등으로 늘다가 올해는 9조1천103억원(83건)으로 감소했다.M&A 금액은 삼성전자가 10조1천491억원으로 단연 1위였다.

하만 인수에만 9조2천727억원(80억달러)을 투자했는데, 이는 국내 기업의 해외 M&A 사례로는 사상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지난 2016년 삼성정밀화학(현 롯데정밀화학)과 삼성SDI의 화학사업(현 롯데첨단소재) 지분을 잇따라 인수하면서 그룹 주력 계열사로 부상한 롯데케미칼이 3조50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그러나 삼성전자와 롯데케미칼은 올해 들어서는 해외법인 등을 제외하고는 M&A 투자실적이 전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두 회사와 함께 CJ제일제당(2조5천394억원), 신한지주(2조4천923억원), 미래에셋대우(2조3천205억원) 등이 '톱 5'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 카카오(2조2천310억원)와 SK㈜(1조9천545억원), ㈜한화(1조8천621억원), CJ대한통운(1조1천174억원), 호텔롯데(1조9억원) 등도 1조원 이상을 M&A에 투입한 것으로 조사됐다.M&A 건수로는 카카오가 33건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 2015년 13곳을 시작으로, 2016년 6곳과 지난해 5곳에 이어 올해도 9곳 등 주로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분야 기업들을 공격적으로 사들였다.

이어 NHN엔터테인먼트(25건)와 네이버(20건), 삼성전자(17건), CJ대한통운(13건), CJ제일제당(11건), LF(10건) 등이 뒤를 이었다.그룹별로는 삼성이 10조2천215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CJ(4조4천787억원)와 롯데(4조2천234억원), SK(3조935억원), 한화(2조5천527억원), 미래에셋(2조4천905억원), LG(2조1천749억원) 등의 순이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