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토종 클라우드' 육성 시급함 일깨운 AWS 불통 사태

그제 발생한 국내 주요 온라인 서비스 불통(不通)사태는 외국 기업에 클라우드(가상 저장공간) 산업 주도권을 내준 나라가 겪어야 하는 ‘돌발 리스크’를 생생하게 보여줬다. 미국 아마존웹서비스(AWS)의 한국 데이터센터 오류로 쇼핑(쿠팡), 게임(넥슨), 가상화폐 거래(코인원) 등 AWS 클라우드로 작동하는 서비스들이 약 90분 동안 마비됐지만 해당 기업들은 속수무책이었다. 장애 발생과 원인, 복구 과정 등을 제때 통보받지 못해 대처 자체가 불가능했다.

이번 사태는 외국 클라우드 서비스에 감춰진 문제점을 낱낱이 드러냈다. 우선 장애 발생 시 본사와 한국 데이터센터 간에 복잡하게 얽혀있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린다. AWS 등 서비스 업체와 고객사 간 소통이 대부분 외국어로 진행돼 사고 수습도 더딜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AWS, MS 등 외국 업체들이 1조9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의 약 70~8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언제 또 다른 ‘디지털 블랙아웃(대정전)’ 사태가 재발할지 모르는 상황이다.‘4차 산업혁명 시대의 총아(寵兒)’로 불리는 클라우드는 세계 각국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빅데이터 산업의 기반 기술이다. 의료정보 등 공공부문 데이터를 민간과 공유하고, 이를 사업화하는 통로로도 이용된다.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활용 기술이 균형있게 발전해야 신(新)산업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그러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이 시급하다. 이 법은 2015년 세계에서는 처음으로 제정된 ‘클라우드 발전법’이지만 관련 산업 ‘마중물’ 역할을 할 정부의 클라우드 이용을 막아 오히려 산업 발전을 저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과 영국은 정부의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률이 70%를 웃돈다. 클라우드를 통한 공공 데이터 개방도 90%를 넘어 핀테크 등 신산업에 자양분을 제공하고 있다. 신산업 경쟁에서 더 처지기 전에 정부의 ‘속도감’ 있는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