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의 트럼프' 보우소나루…軍장교 출신 강성 이미지

부패척결·변화 앞세워 대권 고지 올라…막말 논란으로 거부감도 커

28일(현지시간) 치러진 브라질 대선 결선투표에서 승리한 극우 사회자유당(PSL)의 자이르 보우소나루(63) 당선인은 브라질 정계의 '아웃사이더', '브라질의 트럼프' 등으로 불리는 인물이다.이탈리아 이민자 후손인 그는 1971∼1988년 육군 장교로 복무했고, 전역하고 나서 1988년 리우데자네이루 시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됐다.

1990년부터 7차례 연속해서 연방하원의원에 당선됐으며, 특히 2014년 연방의원 선거에서는 전국 최다 득표로 당선되는 기록을 세웠다.

2014년 선거의 성공으로 보우소나루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일찌감치 2018년 대선 출마 의사를 밝혔다.
올해 대선 정국 초반에 보우소나루는 사실상 아웃사이더나 마찬가지였다.

연방의회에서 한 발언은 코미디의 소재가 되기 일쑤였으며, 당시만 해도 그를 대권 주자로 주목하지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지난 2016년 초부터 터져 나온 부패 스캔들과 사상 최악의 경제위기, 정국혼란, 치안불안은 보우소나루에게 대권 도전을 꿈꿀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었다.대선 출마를 위해 올해 초 기독교사회당(PSC)에서 사회자유당으로 당적을 옮긴 그는 '브라질의 트럼프'를 자처하며 소셜네트워크(SNS)를 통해 꾸준히 인지도를 높였다.

대선 출마에 앞서 SNS에서는 보우소나루의 인기가 다른 모든 정치인을 압도했고, 지난 7월 사회자유당은 그를 대선후보로 결정했다.

미셰우 테메르 대통령 정부의 지지율 추락과 우파 대선주자들의 약세는 그에게 기회였다.부패혐의로 수감된 좌파 노동자당(PT)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전 대통령의 대선 출마 시도가 무산된 이후에는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선두를 놓치지 않았다.

보우소나루는 대선에 출마하면서 '변화'를 모토로 내세웠다.

지난 7일 대선 1차 투표를 앞두고 "우리의 힘은 오직 진실과 국민의 지지"라며 브라질을 변화시킬 준비가 돼 있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했다.

백인 기득권층과 중도 성향의 정당, 재계, 군부는 물론 기성 정치권에 실망한 중산층 서민들은 그에게서 변화의 가능성을 발견하려고 했다.

결선투표를 앞두고 터져 나온 'SNS 여론조작' 논란도 이런 흐름을 되돌리지는 못했다.
보우소나루는 지나친 강성 발언으로 여러 차례 구설에 올랐다.

여성을 비하하고 인종·동성애·난민·원주민을 차별하는 발언을 하는가 하면 군사독재정권(1964∼1985년)을 옹호하는 발언도 했다.

경찰이 더 많은 범죄자를 사살해야 한다는 주장을 서슴지 않았고, 빈곤율과 범죄율을 낮추는 방안으로 빈곤층의 출산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그가 결선투표에 오르자 지난 30여 년간 유지돼온 브라질 민주주의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보우소나루는 민주주의를 위협할 수 있으며, 그가 대선에서 승리하면 '재앙적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의 외교안보 전문지 포린폴리시(FP)는 보우소나루의 정치모델이 이탈리아의 우파 정치인 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아니라 과거 나치 독일의 선전상 괴벨스라고 혹평했다.

보우소나루는 올해 대선의 승자이지만, 여론조사에서 거부감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의 강성 발언에 피로감을 느끼는 유권자들이 늘어나면서 결선투표 직전에는 지지율 격차가 8∼10%포인트까지 좁혀졌다.

전문가들은 보우소나루가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강성 발언을 이어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그가 속한 정당이 연방의원 선거에서 선전해 하원의원 52명을 배출했으나 전체 의석수(513석)를 고려하면 10% 수준이다.

연립정권을 구성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내년 1월 1일 대통령 취임 이후에는 보우소나루의 발언 수위가 한층 누그러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