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 내년 거론…'연내 종전선언' 멀어지나

사진=연합뉴스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연내에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정부 고위 당국자가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을 비롯한 일부 기자들에게 "2차 북미 정상회담은 내년 1월 1일 이후가 될 것 같다"고 언급하는 등 파문이 확산하는 분위기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간선거(11월 6일) 이후'를 거론하면서 11∼12월 중 북미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그보다 더 늦춰질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어서다. 북한은 미국 중간선거 이전에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해 비핵화 초기조치와 종전선언 등 상응조치를 합의하기를 강하게 희망했던 것으로 전해졌다.지난 9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에 2차 정상회담 제안을 담고, 트럼프 대통령도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모습을 보인 뒤 세간에선 2차 정상회담이 조기에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하지만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서 미국은 유보하는 태도를 보여왔다.

미 당국자의 발언이 '1월 중 개최'를 염두에 둔 것일 경우 선거 전까지 구체적인 준비를 하기 어려운 미국 내부 사정과 의전 및 경호 준비 등에 들어갈 필수적인 시간 등을 감안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월 언급이 구체적으로 상정한 시간표 없이 막연하게 나온 것이라면 기본적으로 북미 정상회담의 내용을 채울 비핵화와 상응 조치 협상 준비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올 수 있다.

북미 정상회담이 세간의 예상보다 다소 늦춰지더라도 북미 대화의 동력이 갑자기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미국 정부가 오는 12월로 예정된 한미 연합공중훈련인 '비질런트 에이스' 시행을 연기한다고 발표한 것도 북미 대화의 동력 유지를 감안한 조치로 풀이될 수 있어서다.다만 연내 북미 정상회담이 불발될 경우 우리 정부 주도로 추진되고 있는 연내 한국전쟁 종전선언과 철도 연결을 필두로 한 남북 간 경협의 빠른 진전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