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경제학상] "인간의 합리성엔 개인간 우열 존재…교육 통해 향상 가능"

제7회 茶山 젊은 경제학자상 수상 - 최승주 서울대 교수
현대경제학은 경제 주체의 행위에 대한 이해 및 공공 정책의 설계와 실행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한다. 하지만 경제학과 현실의 괴리가 크다는 지적이 늘 제기된다. 전통경제학이 모든 면에서 완벽한 ‘합리적 인간’을 경제 주체로 상정하고 있어서다.

실험·행태경제학자로서 다양한 본성을 가지고 있는 현실적인 인간의 모습을 연구하는 데 중점을 뒀다. 실험경제학 방법론을 통해 이를 측정하고, 경제적 성과와 연결하는 연구에 집중했다. 이를 통해 기존 정책 도구를 재평가하고 새로운 정책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려 했다.2014년 아메리칸 이코노믹 리뷰(AER)에 게재한 ‘Who Is (More) Rational?(누가 더 합리적인가)’ 논문에서는 의사결정의 능력과 질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검증했다. 인지 능력이 사람마다 차이가 있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의사결정 능력은 교육 및 소득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합리성이 높은 성인일수록 자산을 더 많이 축적한다는 사실을 실험과 실증 분석을 통해 증명했다.

합리적 인간이라는 가정이 현실과 괴리가 있기 때문에 여기서 출발한 전통 경제학 이론들도 사람들의 경제적 성과를 설명하기에 많은 제약이 있다. 이에 따라 이를 적절히 감안한 공공정책이 필요하다. 지난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리처드 탈러 교수가 제안한 ‘넛지’가 대표적이다. 행태경제학은 완벽하지 않은 합리성을 가진 사람들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선택 설계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하지만 넛지 전략 역시 한계는 있다. 특정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선택 편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할 뿐 사람들의 근본적인 능력 향상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하고 있어서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논문이 사이언스지 2018년 10월호에 게재된 ‘경제적 합리성을 향상하는 데 있어서 교육 지원 사업의 역할’이다. 개발경제학자들과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인 아프리카 말라위의 가난한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지원 사업을 한 결과, 교육 지원이 장기적으로 경제적 합리성을 증진시켰다는 사실을 면밀한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이 연구는 교육이 인간의 합리적 의사선택 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첫 번째 실험 연구다.최근에는 싱가포르와 한국의 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전략적 합리성의 제약에 대한 실험 연구를 하고 있다. 전통경제학은 인간의 공감 능력과 전략적 사고 능력 등 전략적 합리성에 아무런 한계가 없다고 상정한다. 하지만 현실의 인간은 그렇지 않다. 이 같은 인간의 한계가 개인과 집단의 경제적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또 제도가 인간의 본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분단 70년의 시간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서로 다른 제도 아래 살아온 사람들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대한 실험·행태경제학 연구다.

■약력

△1973년생
△1998년 서울대 경제학부 졸업
△2000년 서울대 경제학 석사
△2006년 미국 뉴욕대 경제학 박사
△2006~2013년 영국 런던대(UCL) 조교수
△2013~2014년 영국 런던대 부교수
△2014년~ 서울대 경제학부 부교수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