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 '초읽기'… 유은혜·박영선·한정애 입각 거론

산업통상자원부·환경부·여가부
고용노동부 장관 교체 유력
국방·교육부장관은 유임 가능성

산업부 장관, 김효석·홍남기 물망
양향자 前 최고위원도 후보군
문재인 정부 2기 출범을 위한 개각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청와대 관계자는 27일 “준비되면 발표할 것”이라며 시기가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이낙연 국무총리와 오찬을 겸한 정례 주례회동을 하고 개각에 관한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것이 절차”라면서도 “오늘 어떤 얘기를 나눌지는 귀띔받은 게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함구에도 불구하고 교체 대상과 후보자들은 연일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이번 개각의 가장 큰 특징은 더불어민주당 현역 의원의 대거 기용 여부다. 상대적으로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가 쉽고 국정을 흔들림 없이 추진할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문 대통령은 막판 검증이 끝나는 대로 후보군 명단을 받아 최종 결심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개각 가능성이 큰 부처로는 환경부와 여성가족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 밖에 ‘기무사령부 계엄령 문건’ 보고 누락으로 논란을 빚은 송영무 국방부 장관과 대입제도 개편과정에서 혼선을 빚은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교체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국방개혁의 완수와 일관성 있는 교육정책 추진을 위해 두 자리 모두 유임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팽팽하다. 여당 내 한 중진의원은 “두 부처 수장에 대한 교체 요구가 적지 않았지만 개혁과제가 산적한 데다 마땅한 적임자를 찾지 못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유은혜 의원은 20대 국회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를 맡았던 경력 때문에 교육부와 여가부 장관 복수 후보로 꾸준히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교육부 장관 유임 시 여가부 장관에 낙점될 것이라는 게 여권 내 전언이다.청와대가 하반기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속도를 내고 경제정책의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부나 고용부 장관을 교체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고용부 장관은 여성 중진 박영선 의원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는 한정애 의원으로 후보군이 좁혀졌다. 환경부 장관에는 원내대표를 지낸 3선의 우원식 의원이 물망에 올랐다.

산업부 장관으로는 김효석 전 의원과 홍남기 국무조정실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문 대통령이 2016년 총선을 앞두고 영입한 양향자 전 민주당 최고위원도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문 대통령이 ‘여성 장관 비율 30% 유지’ 원칙을 내세운 것도 유 의원 등 다수 여성 후보 입각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