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부부의 일그러진 욕망… "야망을 좇는 캐릭터에 끌렸죠"

29일 개봉 '상류사회'서 큐레이터 役 맡은 수애
오는 29일 개봉하는 영화 ‘상류사회’에서 갤러리 부관장 수연 역을 맡은 배우 수애. /최혁 한경닷컴 기자 chokob@hankyung.com
한국판 ‘하우스 오브 카드’를 표방한 변혁 감독의 ‘상류사회’(29일 개봉)는 일그러진 욕망의 중산층 부부가 추악한 상류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을 화려한 비주얼로 그려 낸 상업영화다. ‘하우스 오브 카드’는 미국 정계의 부패상을 신랄하게 꼬집은 정치 드라마다. ‘상류사회’에서 남편(박해일 분)은 경제학 교수이자 촉망받는 정치 신인이고, 아내는 돈세탁으로 정치인들에게 뒷돈을 대주는 갤러리의 부관장이다. 두 사람은 치명적인 실수를 하지만 막판 반전으로 뒤집기를 시도한다. 갤러리 부관장 수연 역의 수애를 서울 팔판동 한 카페에서 만났다.

“야망을 좇는 수연이란 캐릭터의 당당함에 끌렸어요. 이 배역이 제가 연기에서 찾지 못했던 부분을 채워주길 바랍니다. 수애가 이런 것도 해내는구나 하는 칭찬도 듣고 싶어요.”정치 신인 남편은 부정한 행위를 강요받게 되고, 수연은 불법적인 돈세탁을 하는 자리라는 것을 알면서도 출세를 위해 관장직을 노린다. 두 사람은 각자 불륜 행각에 빠져 위기를 자초한다. 그러나 관습을 뛰어넘는 수습 과정이 영화의 매력이다.

“수연은 스스로 능력 있는 전문가로 자임하는데, ‘능력 없는 금수저’가 자기 자리를 빼앗는 것을 부당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일에 대한 열정이 야망으로 변질되고 말죠.”

수연은 ‘학력 위조’로 사회적 파문을 일으킨 신정아 전 동국대 미술사 교수를 연상시킨다. 수애는 여러 큐레이터들을 만나 직업적인 특성이나 태도 등을 공부한 뒤 연기에 임했다고 한다. 이 영화의 또 다른 특징은 정사신이다. 갤러리 오너의 노골적인 정사신뿐 아니라 수애 자신의 베드신도 나온다.그는 “수연의 노출신은 꼭 필요한 장면이라고 생각했다”며 “감독님이 그 장면에 대해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편하게 촬영해 줬다”고 말했다. 수애는 자신의 연기력에 겸손한 태도를 나타냈다.

“저는 재능에 비해 넘치는 사랑을 받고 있다고 생각해요. 성격적으로 신인 때부터 낯을 가리는 편이었고 대중 앞에 서는 배우로서 자질도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배역을 소화하며 완성된 연기를 향해 나아가고 싶습니다.”

결혼에 관해서는 비혼주의는 아니라고 답했다. “결혼은 운명이 있고, 정해진 짝도 있는 것 같아요. 한때 저보다는 부모님이 조바심을 냈는데 이제 그 시기도 지났어요. 하지만 때가 오면 놓치지 않을 생각이에요.”

유재혁 대중문화 전문기자 yooj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