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회, 현대중 공공선박 발주제한 '특별사면' 요청

울산시의회가 조선업 위기 극복을 위해 현대중공업에 대한 정부 공공선박 발주제한을 유예해달라는 요구에 이어 특별사면까지 촉구했다.

울산시의회는 최근 청와대와 국회를 잇달아 방문해 현대중공업에 대한 공공선박 발주제한이 하루빨리 풀릴 수 있도록 특별사면을 요청했다고 23일 밝혔다.황세영 의장 등 시의원 일행은 지난 21일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실 관계자들을 만나고 국회를 방문해 "현대중공업은 세계 조선해양산업 경기 침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희망퇴직 등 뼈를 깎는 고통을 감내하며 자구책을 이행하고 신규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며 "하지만 현대중공업은 정부가 조선해양산업을 살리고자 마련한 공공선박 발주 혜택을 받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현대중공업 공공선발 발주제한은 원전 납품 비리 때문이다.

현대중공업 일부 임직원이 2014년 아랍에미리트 수출 원전의 핵심 부품 납품을 위해 한국수력원자력 간부에게 뇌물을 건넨 혐의로 처벌됐고, 조달청은 이후 2017년 12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2년간 현대중공업을 부정당 업자로 등록했다.이 때문에 정부가 발주하는 40척 규모 공공선박 입찰에 참가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울산시의회는 현대중공업이 공공선박을 발주해 일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발주제한 유예도 요구한 데 이어 법률 규정 때문에 유예가 불가능할 경우 특별사면이라는 특단의 대책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시의회 관계자는 "청와대 관계자가 '현대중공업 사태와 관련해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상부에 보고해 법률 검토도 하겠다'고 했다"며 "울산이 조선업 위기를 극복하고 재도약할 수 있도록 정부가 아낌없는 지원과 협조를 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그동안 울산지역 정치권과 자치단체, 조선 협력사 등은 일감이 없어 더 큰 조선업 위기를 맞고 있는 만큼 현대중공업 공공선박 발주제한을 일시 유예해달라고 정부에 줄곧 요구해왔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