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과 짧은 장마에 '녹조 비상'…상수원 7곳 조류경보

짧은 장마에 기록적 폭염 탓 낙동강 6곳·금강 1곳 녹조 확산
8월 넷째주까지 낙동강 심해질 듯…상류댐 여유 용수 방류 예정

짧은 장마에 기록적 폭염이 이어지면서 전국 주요 상수원 28곳(친수활동구간 1곳 포함) 가운데 7곳에서 녹조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는 일부 상수원에서 녹조(남조류)가 증가하면서 10일 기준으로 낙동강 강정고령·창녕함안·영천호·칠곡·운문호·안계호, 금강 대청호 등 7곳에서 조류경보가 발령 중이라고 12일 밝혔다.

이 가운데 강정고령, 창녕함안(이상 경계), 영천호(관심)는 7월 말 또는 8월 초에 발령됐고 칠곡, 운문호, 안계호, 대청호(이상 관심) 등 나머지 4곳은 8일 발령됐다.

녹조에는 사람 몸에 치명적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배나, 아파니조메논, 오실라토리아 등 독성물질이 포함돼 있다. 녹조는 물 흐름 속도가 느리고 인과 질소 같은 물질이 많은 환경에서 강렬한 햇볕이 내리쫴 수온이 25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왕성하게 자라난다.장마가 이례적으로 일찍 끝난 뒤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진 올여름에는 녹조가 증가할 조건을 두루 갖춘 셈이다.

정부가 수질 관리를 위해 1998년부터 28곳(한강 9곳·낙동강 12곳·금강 3곳·영산강 4곳)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조류경보제는 녹조 세포 수에 따라 '관심', '경계', '대발생' 등 3단계로 나뉜다.

유해 남조류 세포 수를 2회 연속 측정해 두 번 모두 1㎖에 1000 마리 이상이면 '관심', 1만 마리 이상이면 '경계', 100만 마리 이상이면 '대발생'이다.28곳 가운데 팔당호, 진양호, 한강친수활동구간은 유해 남조류 세포 수 측정에서 1회만 발령 기준을 초과했다. 이들 3곳과 조류경보가 발령된 7곳을 제외한 18곳은 폭염 기간임에도 녹조 수준이 양호하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상수원에 녹조가 번식하면 조류 독소와 맛·냄새 물질이 정수 처리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며 "조류경보가 발령된 곳에는 매주 1∼3회 수돗물 수질 검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