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리콜 벌써 223만대…완성차 업체 품질 신뢰도 '뚝'

1~7월 리콜 규모 전년 92% 육박
연 신차 판매량보다 많아

10만6000여 대 리콜 앞둔 BMW코리아
더 늘어날 가능성 높아
사진=연합뉴스
올 들어 수차례 내려진 자동차 리콜(결함 시정) 조치로 그 규모가 223만 대를 넘어섰다. 차량 결함은 연이어 발견되고 있어 사상 최대치를 찍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완성차 업체 품질 수준이 오히려 뒷걸음질 치고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2일 국토교통부 산하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올 1~7월 리콜을 시행하고 있는 차량은 223만6179대(원동기 일부 포함)다. 165만5782대였던 전년 동기 대비 35.0%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전년 한 해 동안 이뤄진 리콜 241만3446대의 92.6%에 육박한다.

BMW코리아가 ‘주행 중 화재’ 우려로 다음달 중순 42개 차종 10만6317대를 리콜하게 되면 차량 대수는 더 늘어나게 된다.남은 하반기 이 추세대로라면 리콜 규모는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울 가능성이 높다. 머지않아 250만 대를 바라보는 불명예를 안을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연도별로 보면 리콜 조치는 2010년 20만 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다 2013년 103만7151대로 훌쩍 뛰었다. 전년 들어선 241만3446대를 기록했다. 이 기간 차량 신규 등록 대수인 184만5000대보다 많다.

제작 결함은 국산차와 수입차 가릴 것 없이 나타나고 있다. ‘국민 중형차’인 현대자동차 쏘나타, 고급 스포츠카 브랜드 포르쉐의 스포츠 세단 파나메라 등 633개 차종이 소프트웨어 개선 조치와 부품 교체 작업을 했다. 정상적인 조향 능력을 잃을 우려가 있는 중대한 결함부터 방향 지시등 교환까지 원인도 다양하다. 업계 관계자는 “잇딴 리콜에 소비자의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며 “생명과 직결되는 만큼 철저한 검증 아래 생산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 직접 결함을 호소해야 하는 구조와 완성차 업체의 안일한 대응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적극적 조치를 미루다 국토부 조사가 진행되면 ‘자발적 리콜’을 내놓는 게 대표적 경우다.

실제 지난 8개월 동안에만 28건의 차량에 불이 나는 사고가 있었지만 BMW코리아의 공식 대응은 뒤늦게 나왔다.익명을 요구한 한 대학 교수는 “차량에 탑재하는 첨단 장치가 많아지면서 품질을 확보하기 더 복잡해졌다”면서 “그러나 판매 확대, 원가 절감에 안전성과 품질은 밀려나 있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박상재 한경닷컴 기자 sangja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