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시선은 '포스트 6·13'… 춘추전국시대 열리나

지방선거 직후 당권경쟁 본격화 전망…후보군 10여명 거론
'2020년 총선 공천권' 쟁탈전

자유한국당은 6·13 지방선거 직후 치열한 당권경쟁을 예고하고 있다.1년 이상 임기를 남겨둔 홍준표 대표가 지방선거 이후 전당대회, 즉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기정사실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선거 이후 전당대회가 열리면 여기서 선출되는 차기 당 대표는 2020년 4월에 있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공천권을 행사한다.

나아가 2022년 대선 고지를 향한 발걸음도 재촉할 수 있다.이같이 막강한 권한과 정치적 무게가 쏠리다 보니 당내 유력 인사들이 너도나도 당권을 노리고 조기 전당대회에 출사표를 던지는 이른바 '춘추전국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6일 현재 당 안팎에서는 당 대표 후보로 10여 명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가장 강한 당권 의지를 보이는 사람은 홍 대표 본인이다.홍 대표는 지난해 7월 당 대표 취임 이후 당협위원장 교체 등을 통해 당 조직을 다져온 만큼 가장 유력한 당권 주자로 꼽힌다.

여기에 홍 대표가 공언한 대로 지방선거에서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6개 이상 지역에서 승리하면 홍 대표의 당권 가도는 탄력이 붙을 수 있다.
그러나 당내 '홍준표 비토론'이 확산하고 있어 홍 대표의 당권 수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도 적지 않다.특히 홍 대표는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해 국민 여론과 동떨어진 거친 언사를 쏟아내 당 안팎의 뭇매를 맞고 있다.

여기에 홍 대표의 일방통행식 당 운영에 대한 당내 불만이 거의 임계치에 도달해 있어 당권경쟁이 시작되면 '홍준표 불가론'이 거침없이 분출될 것이라라는 말도 있다.

홍 대표의 강력한 대항마로는 이완구 전 국무총리가 거론된다.

이 전 총리는 지난 1일 "충청 대망론이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

저는 은퇴하지 않았다"고 공언했다.

당 일각에서는 이를 '이 전 총리의 당권 도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또 심재철(5선)·나경원·정우택·정진석·주호영(이상 4선) 의원 등 중진의원들도 자천타천으로 거론된다.

김영우·김용태(이상 3선) 의원 등이 '세대교체론'을 내걸고 당권에 도전할 수 있고, 재선인 김진태 의원의 이름도 나온다.

이번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들이 선거 이후 당권 도전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도 있다.

한국당 소속은 아니지만,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황 전 총리 역시 보수진영의 폭넓은 지지를 기반으로 일정한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