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부품 절반을 공급…볼트는 GM 아닌 LG차?

UBS 보고서 "볼트 최대 협력사는 LG…부품의 56% 공급"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전통적인 자동차 부품업체 대신 배터리와 전기모터 등을 생산하는 화학·전자업체가 중요해지고 있다.특히 LG화학을 비롯한 LG그룹은 GM 볼트(Bolt) 전기차의 가장 큰 공급업체로 부상했다.

5일 금융그룹 UBS가 지난 5월 발간한 '전기차 해체' 보고서에 따르면 LG가 공급한 부품이 볼트 총 생산비용의 56%(배터리를 제외하면 14%)를 차지했다.

금액으로 따지면 1만6천 달러 상당이다.UBS는 이 보고서를 위해 볼트 전기차를 실제 해체해 각 부품의 공급업체와 생산단가 등을 분석했다.

이미 알려진 대로 LG화학은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LG전자는 또 다른 핵심부품인 전기모터를, LG디스플레이는 인포테인먼트 모듈을 만들었다.전기모터와 기어박스, 인버터, 고압케이블, 차저 등 자동차의 동력을 제공하는 파워트레인의 경우 LG가 전체 구성품의 87%를 공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UBS는 볼트가 유독 LG로부터 부품을 공급받는 이유에 대해 GM이 LG로부터 배터리를 경쟁력 있는 가격에 받는 대신 배터리 외 부품을 LG에서 사겠다고 제안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UBS는 전기차 시대에는 전통적인 부품업체보다 화학·전기업체들이 중요해진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볼트를 비슷한 크기의 내연기관 차량인 골프와 비교했다.그 결과 전기차는 배터리를 제외하더라도 내연기관 차보다 3천 달러 상당의 전자부품이 더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연기관 차에 들어가는 자동차용 반도체는 60~90달러 상당에 불과했지만, 전기차는 580달러로 6~10배의 반도체가 더 들어갔다.

UBS는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확장하면서 LG를 비롯한 전자업체들이 자동차 부품시장 점유율 상당 부분을 가져갈 것으로 전망했다.또 전기차에는 고장 날 수 있는 부품 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전통적인 부품업체들의 애프터서비스 수입이 많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bluekey@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