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 베테랑을 만나다] 장영준 PB "공격적 투자보단 위험관리 집중"



미국의 금리인상 등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커져만가고 있습니다. 장영준 대신증권 수석PB는 현재 시장상황의 변동성을 고려해 위험관리에 촛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최경식 기자가 장영준 수석PB를 만났습니다.



증권업계에서 11년간 근무하며 고객들의 금융주치의로 맹활약하고 있는 대신증권 대표 자산관리 전문가 장영준 PB.

그는 지난 1년간의 자산시장 흐름이 녹록치 않았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는 미국의 금리인상 등 대외변수를 고려한 보수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장영준 대신증권 수석PB

"올해는 자산시장이 양분돼있는 것 같다. 상반기에는 바이오나 제약 등 종목별로 강세가 있어서 수익이 많이 난 반면에 하반기에는 시장이 어려운 상황이다. 전체적인 시장의 유동성은 있기 때문에 시장이 하락 리스크는 없지만, 시장 안에서의 수익 날 기회가 굉장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시장이 양극화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번주로 다가온 미국의 금리인상이 투자자들의 투자방향에 중요한 단초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금리인상의 속도나 방향성에 따라 전 세계 증시의 변동성이 좌우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성급한 투자보다는 위험관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장영준 대신증권 수석PB

"지금 상황에서는 관망을 하는 게 맞다고 본다. 실제로 금리결정이 된 이후에 우호적으로 발언을 한다면 오히려 시장은 단기간에 안정을 되찾을 것 같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미국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후폭풍에 대해 서서히 준비를 해야 한다."

또한 추가적인 유가 하락과 중국의 불안정한 경기 상황도 투자자들이 고려해야 할 중요 변수로 지적했습니다.

장영준 대신증권 수석PB

"유가가 하락하고 있고 중국이 18개월 전부터 경기둔화가 지속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원자재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가 경기가 둔화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여기서 유가가 추가적으로 하락한다면 브라질, 러시아 등 유가에 기댄 나라들은 굉장히 위태로워질 수 있다. 또한 중국이란 나라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따라 전 세계 경기와 위험자산의 흐름 자체가 굉장히 달라질 것 같다."

그는 앞으로 주목해야 할 자산으로써 `달러`를 추천했습니다.

변동성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전체 자산의 30% 정도는 달러, 나머지는 고위험 자산이 아닌 헤지펀드나 메자닌 펀드와 같이 중위험 자산을 꼽았습니다.

비록 1-2년 전보다 목표 수익률은 낮지만, 어느 정도 위험을 줄이면서 지켜나갈 수 있는 자산으로 구체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는 조언입니다.

장영준 대신증권 수석PB

"나는 고객들에게 전체 자산의 30% 이상은 달러를 갖고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앞으로 위기가 올 때.. 이 위기에서 살아남을 유일한 자산은 달러라고 본다. 주식처럼 가격에 민감해 흥분할 것이 아니라 매월 적립하듯이 달러를 모아둠으로써 위기에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한국경제TV 최경식입니다.


최경식기자 kschoi@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출발드림팀’ 심으뜸, 세계적인 ‘엉짱’이 꿈? 무보정 몸매 봤더니 세상에…
ㆍ안철수, 새정치연합 탈당…"새로운 정치세력 만들 것"
ㆍ대학가상가, 광교(경기대)역 `리치프라자3` 투자열기로 후끈!
ㆍ‘런닝맨’ 신세휘, 한효주 닮은 극강미모…미래가 기대되네
ㆍ`SNL코리아6` 이세영, 도희에 "`응사` 찍고 배우병 걸렸다며?" 돌직구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