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격변기 투입된 '승부사' 권영수, IoT·5G로 LG유플러스 미래 이끈다

"첫 출근은 언제나 흥분된다"…현안 파악 나서
신사업 키우고 M&A 등 공격경영 나설 듯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이 30일 서울 용산 본사 사옥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안정락 기자
LG유플러스가 1일 권영수 부회장 체제로 새롭게 출발한다. 권 부회장은 30일 오전 서울 용산 LG유플러스 본사로 출근하며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첫 출근은 언제나 흥분된다”며 “앞으로 업무 파악을 신속히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의 공식 발령일은 1일이다. 하지만 하루 앞서 출근해 방송통신 현안 등 업무 파악에 나섰다.

권 부회장은 LG그룹 주요 계열사인 LG디스플레이, LG화학 등을 거치며 경영 실력을 검증받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앞서 LG전자에서는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지내는 등 재무와 전략에 능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권 부회장은 앞으로 공격적 경영 스타일을 내세워 사물인터넷(IoT), 5세대(5G) 네트워크 등 신성장사업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격변하는 방송통신시장에서 LG유플러스를 ‘만년 3위’ 자리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방송시장 돌파구 찾나

권 부회장은 2010년 LG그룹 통신 계열사가 통합돼 LG유플러스로 재편된 뒤 처음으로 경영 바통을 이어받는 수장이다. 6년간 지속됐던 LG유플러스의 1기 ‘이상철 체제’에서 2기 ‘권영수 체제’로 바뀌는 만큼 어떤 변화를 몰고 올지 관심이다.방송통신 격변기에 사령탑을 맡은 권 회장 앞에는 적지 않은 과제가 놓여 있다. 우선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M&A) 추진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을 인수하면 유료방송시장에서 KT와 SK텔레콤은 ‘2강 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LG유플러스가 방송통신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케이블TV 회사 인수 등 새로운 카드를 꺼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LG그룹은 그동안 방송통신 분야에서 경쟁사의 과감한 M&A에 밀려 만년 3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1999년에는 한솔PCS 인수를 시도했지만 KT에 밀렸고, 2008년 하나로텔레콤 인수 경쟁에선 SK텔레콤에 고배를 마셨다.

◆IoT 등 신사업 강화할 듯권 부회장은 과거 LG전자 시절 M&A추진 태스크포스(TF) 팀장을 맡았고, LG화학 등에서 글로벌 사업을 과감히 추진하며 경영 실력을 인정받았다. 앞으로 LG유플러스가 M&A를 비롯한 공격적인 행보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권 부회장은 LG디스플레이 최고경영자(CEO)로 있을 당시 삼성전자에 맞서 설비 투자를 강화해 애플과의 공급 계약을 따내는 등 승부사로서의 면모를 보여줬다. 당시 LCD(액정표시장치) 패널 가격 하락으로 4분기 연속 적자였던 회사를 취임 후 2분기 만에 흑자로 돌려놓으며 세계 1위 패널 회사로 키웠다.

통신분야 경험이 없다는 건 약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전자 디스플레이 화학 등의 분야에서 쌓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IoT, 자율주행차 등 신성장사업에서 두각을 보일 것이란 기대도 없지 않다. 글로벌 기업과의 적극적인 협력도 예상된다.업계 일각에서는 재무통으로 구조조정 전문가인 권 부회장이 B2B(기업 간 거래) 사업 등에 집중하며 사업 구조 개편에 힘을 실을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새로운 CEO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사업을 그룹 내 한 축으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