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차관 "노사정 복귀 무산, 청년 절박함 외면한 처사"

기자간담회서 "금호타이어 파업, 국민이 용납하기 어려울 것"

고영선 고용노동부 차관은 19일 청년 일자리 문제의 심각성을 내세우며 한국노총의 노사정 대화 재개를 촉구했다.고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한노총의 노사정 복귀 무산은 일자리를 애타게 구하는 청년들의 절박함과 땀 흘려 일한 만큼 정당한 대가를 받고자 하는 중소기업·비정규 근로자들의 열망을 외면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한노총 지도부는 전날 노사정 대화 재개를 선언하려고 했으나, 일부 산별노조 조합원들이 회의장을 봉쇄하는 등 강하게 반발해 무산됐다.

고 차관은 "민주적 절차에 익숙하지 못한 일부 노조원의 행태는 선진국에서는 보기 드문 것"이라며 "그들보다 상황이 더 열악한 영세사업장 근로자들과 청년 구직자들을 고려할 때 결코 바람직하다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그는 "한노총 지도부는 10%의 대기업·정규직 조직근로자의 이익 대변에 그칠 것이 아니라, 90%의 중소기업·비정규직 근로자, 116만 청년 취업애로계층의 고충에 귀를 기울여 노사정 대화에 하루속히 참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노총이 끝내 노사정 대화를 거부할 경우 정부가 독자적인 노동개혁을 추진하겠다는 뜻도 내비쳐다.

고 차관은 "한노총의 노사정 복귀만을 무한정 기다리며 노동시장의 공정성과 활력 제고를 위한 개혁을 마냥 지체할 수 없다"며 "정부는 현장의 다양한 근로자들과 구직자, 전문가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노동개혁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기간제·파견 근로자 사용기간을 현행 2년에서 4년으로 늘리는 안에 대해서는 김대환 노사정위원장과 다른 목소리를 냈다.

고 차관은 "노사정 대화 때 기간제, 파견제와 관련해 충분히 얘기를 못 했다"며 "이 부분은 논의 폐기라기보다 추후 논의로 이해하고 있고, 노사정위가 재가동되면 다시 의제로 논의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반면 김 위원장은 최근 국회 세미나와 언론 인터뷰에서 "기간제 근로자 사용기간 연장으로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려는 접근은 안 된다"며 "4월 노사정 협상 때도 이 부분은 추진하지 않기로 정리가 됐다"고 밝혔다.금호타이어 파업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금호타이어 노조는 임금인상과 임금피크제 도입 철회 등을 내세우며 17일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고 차관은 "금호타이어는 워크아웃에서 벗어난 지 1년도 되지 않았는데 파업에 들어갔다"며 "상대적으로 고임금을 받는 대기업 정규직 노조가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 지역경제, 협력업체와 그 근로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국민들도 더 이상 용납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비판했다.그는 "정부는 금호타이어 노사가 대화와 타협을 통해 현 상황을 빨리 타개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만에 하나 발생되는 노사 양측의 불법행위에는 엄정하게 대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ssahn@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