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는 스트리밍…미국서 CD 매출 제쳤다

작년 29% 늘어 다운로드 추격…소니는 영상 서비스 개시
미국에서 스트리밍(실시간) 방식의 콘텐츠가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미국음반산업협회(RIAA)는 19일 지난해 미국 음악시장에서 스트리밍 서비스가 CD 판매량을 앞지르고 현재 최다 수입원인 디지털 다운로드 서비스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포티파이나 랩소디 등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와 시리우스XM 같은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 업체들은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18억7000만달러의 매출 실적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보다 29% 증가한 것으로 69억7000만달러 규모의 미국 음악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7%로 올랐다. 반면 CD 판매 매출은 18억5000만달러로 12.7%나 떨어져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지난 10년간 미국 음악산업 매출 중 가장 큰 몫을 차지한 디지털 다운로드의 지난해 매출도 전년보다 8.7% 하락한 25억8000만달러에 그쳤다.영상 콘텐츠 부문에서도 넷플릭스, 훌루 등 스트리밍 서비스가 대세가 되면서 글로벌 공룡들의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 진출도 잇따르고 있다. 소니는 18일(현지시간)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플레이스테이션 뷰’를 미국 뉴욕, 시카고, 필라델피아 등 3개 도시에서 개시했다. 이 서비스는 플레이스테이션3 또는 4를 통해 이용할 수 있고 최저요금은 월 50달러다.

이를 위해 CBS, NBC유니버설, 비아콤, 21세기 폭스 등 9개 미디어 회사와 협력 관계를 맺었다. 미국의 유료방송 산업은 컴캐스트나 타임워너케이블 등 케이블 TV 사업자와 디시네트워크 등 위성방송 사업자가 주도해 왔다. 최근 버라이즌과 AT&T 등 통신사업자들이 스트리밍 방식의 IPTV 사업에 뛰어들고, 애플과 아마존 등도 이런 움직임에 가세하면서 주도권을 노리고 있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