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불법보조금, 정부는 `나몰라`



과도한 차별적 보조금 근절을 취지로 단통법이 도입됐지만 시행 20여일만에 이통사들이 또 다시 불법보조금을 뿌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이 사실을 알고도 나몰라라하고 있는데요, 최근 최양희 미래부 장관의 특단의 조치 발언을 무색케하고 있습니다.

박상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이통3사의 불법보조금 경쟁이 다시 시작됐습니다.

이통3사는 지난주부터 일제히 게릴라성 보조금으로 고객을 모으고 있습니다.



현장 판매 점원 (전화녹취)

"51만2천592원이 (할부원금)으로 청구가 돼요. 그럼 36만 원을 보조금으로 해드리고 차액금이 발생. 이 차액금을 페이백으로 해드립니다. 차액이 나죠. 이걸 드릴겁니다. 현금으로 통장에 "



현금으로 수십만 원씩 돌려주는 `페이백`이 부활하면서 번호이동 고객수도 급증했습니다.



지난 주 번호이동 가입건수(5만2천794건)는 단통법 시행 후 첫 일주일 간 번호이동 가입건수(2만3천784건)의 2배(122%↑)를 넘어섰습니다.



KT는 한 때 LG전자의 스마트폰 G3를 `공짜폰`으로 내놓기도 했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50 만 원이 넘는 돈을 현금으로 돌려주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런 사실을 알고도 아직은 시장과열이 아니라며 사업자들에게 구두경고를 하는데 그쳤습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