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기업가정신인가] 스타트업에 인재 몰리는 이유? "회사와 함께 성장하고 싶어서"

실리콘밸리엔 인력난이 없다
페이스북이 최근 20조원을 투자해 모바일 메신저 와츠앱을 인수하면서 와츠앱 창업자는 돈방석에 앉았다. 임직원들에게도 30억달러(약 3조2000억원)가 스톡옵션 형태로 돌아간다. 와츠앱 직원은 고작 50명. 한 명당 평균 600억원가량을 받게 되는 것이다. 실리콘밸리엔 이런 꿈을 꾸는 이들이 적지 않다.

지난해 실리콘밸리에서 이뤄진 인수합병(M&A)만 700건이 넘었다. 구글은 올 들어 네스트를 32억달러에 인수했고 애플은 테슬라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회사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받아 인수되거나 기업공개(IPO)를 하면 창업자뿐 아니라 직원들까지 ‘대박의 꿈’을 이룰 수 있다. 지난해 트위터를 포함해 실리콘밸리에서만 미국 전체의 15% 정도인 20건의 IPO가 이뤄졌다. 열린 기회와 높은 확률에 최고 인재들이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 몰리고 있다.

스콧 디첸 퓨어스토리지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엔지니어 한 명을 뽑는데 200명의 이력서를 봤다”고 말했다. 그는 “우수한 인력들이 실리콘밸리에 모여 있다”며 “어떤 직종이든 상위 2% 내에 드는 인재를 뽑으려 한다”고 했다. 플래시 스토리지 회사인 퓨어스토리지는 창업한 지 5년이 채 안 됐지만 임직원이 400여명에 달한다. 우버는 최근 구글에서 일하던 브렌트 칼리니코스를 최고재무책임자(CFO), 그루폰에서 부사장을 지낸 제프 홀든을 최고제품책임자(CPO)로 영입했다.

월가 은행원이던 박찬웅 우버 한국지사장은 “스타트업에 인재가 몰리는 가장 큰 이유는 회사와 함께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2012년 입사 후 한번도 휴가를 가본 적이 없고 주말에도 일한다. 실리콘밸리 대부분의 스타트업엔 근무시간이나 휴가에 대한 규정이 따로 없다. 박 지사장은 “지원 기준은 현재 그 회사의 규모나 처우가 아니라 설립자의 창업 철학과 성장 가능성”이라며 “무엇보다 회사의 성장이 곧 자신의 성장이라는 일체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