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도권 집값 강보합세

이번 주 부동산 시황
강남 재건축은 오름세 둔화
중소형을 중심으로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가 강보합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강남권 주요 재건축 아파트는 급매물 소진 이후 관망세로 돌아서며 오름세가 다소 둔화됐다.

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아파트 매매가는 서울(0.03%), 신도시(0.02%), 수도권(0.01%) 모두 전주보다 가격이 오르면서 소폭의 상승세를 유지했다. 서울에서는 송파(0.11%), 서초(0.09%), 강남·종로(0.06%), 강북·은평(0.05%), 구로(0.04%), 동작·성북·중구(0.03%), 도봉(0.02%) 등이 올랐다. 송파는 가락동 가락시영1·2차와 잠실동 주공5단지 등이 500만~1500만원 상승했다. 설 연휴 이전 간헐적으로 거래된 이후 매물이 회수되면서 가격이 상승했다는 게 부동산중개업계의 설명이다. 서초는 반포동 주공1단지 재건축 아파트가 2500만원 정도 올랐다. 주공1단지는 조합원이 2주택을 분양받을 수 있는 기준이 완화되면서 사업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반면 용산·동대문(-0.03%), 양천(-0.02%) 등은 대형면적 거래가 부진하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신도시에서는 산본(0.09%), 판교(0.04%), 분당(0.02%), 파주운정(0.02%), 평촌(0.01%), 중동(0.01%) 순으로 집값이 상승했다. 수도권에선 과천(0.09%), 하남(0.05%), 안양(0.04%) 등이 올랐다.

전세시장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서울은 전셋값이 75주 연속 올랐다. 서울(0.15%), 신도시(0.04%), 수도권(0.02%) 모두 상승했다. 서울에서는 종로(0.44%), 동대문(0.37%), 광진(0.34%), 동작(0.29%), 강동·구로(0.28%) 중구(0.27%), 강북·성북(0.20%) 등이 올랐다. 임병철 부동산114 연구원은 “취득세 영구인하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등 규제가 완화된데다 봄 이사철 움직임도 나타날 것으로 보여 중소형에 대한 매수는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