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증 위험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원인 밝혀야 치료가능

[박영준 기자] 최근 최형원(41세, 가명) 씨 부부는 고민 끝에 각방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사람이 특별히 다른 문제가 있어서 그런 것은 아니었다. 문제는 바로 최 씨의 코골이 때문이었다. 최 씨의 부인 성지혜(39세, 가명) 씨는 계속되는 최 씨의 코골이 때문에 불면증까지 나타났다.

결국 부부는 최 씨가 빠른 시일 내에 코골이 수술을 받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당장 빠듯한 살림에 수술비용준비도 그렇고 "특별한 병도 아닌 단순한 코골이 때문에 시간을 다투어 수술을 할 필요까지 있느냐"는 최 씨의 항변에 수술시일까지 못 박지는 않은 것이다.최형원 씨가 원래부터 이렇게 심하게 코를 골았던 것은 아니었다. 결혼 초만 해도 코고는 소리를 느끼지 못할 정도였고 술을 마신 날에만 코를 고는 정도였다. 그러다가 피곤하다는 날에는 코고는 소리가 더 커져만 갔고 최근에는 코골이가 더욱 심해진 것이다. 최형원 씨의 코골이 소리는 왜 날로 커져만 가는 것일까? 그리고 수술을 하기로 한 결정은 과연 잘 한 일일까?

코골이의 사전적인 의미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와 목젖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하는 호흡 잡음을 말한다.

코골이가 심해지면 이른바 '수면무호흡 증세'가 온다. 수면무호흡이란 말 그대로 수면중에 호흡이 정지하는 증세를 말한다. 수면무호흡 증세는 다시 심한 코골이와 주간 졸음증 등 수면장애를 일으킨다. 수면무호흡증이 일어나면 저산소증이 오게 되어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도 나타날 수 있는 다소 위험한 증세이다. 코골이는 무엇보다도 예방이 중요하다.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한 체중 조절과 금연이 필요하다. 술을 가급적 끊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음주 후에는 코골이가 무척 심해진다.

잠을 잘 때에는 옆으로 새우잠을 자는 것이 코골이 현상을 줄여준다. 구강내 장치를 통해서 혀가 목 뒤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화이트스타일치과 김준헌 원장(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은 "코골이의 원인은 여러 가지입니다. 비만으로 인한 목 부위의 지방축적 또는 혀와 편도조직의 비대화, 턱이 정상적인 형태보다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경우, 인두의 기도확장근의 힘이 흉곽 내 음압을 견디지 못할 때에도 나타납니다. 따라서 전문의를 찾아 검사를 받아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찾아내야 합니다"라고 말한다.김 원장은 또 "충분한 예방과 조처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세가 심하다면 수술로 해결해야 합니다. 코골이 수술은 코골이의 원인 부위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비중격 만곡 및 하비갑개 비후에 대한 교정술인 비강수술, 편도 및 구인두의 점막을 절제하는 구개인두 성형술인 인두부 수술, 설부 축소수술, 두경부 골격수술 등이 있습니다"라고 설명한다.

한경닷컴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 18평 내 집 VS 26평 전세 “미혼남녀의 선택은?”
▶ 뉴 아이패드 상륙 “레티나 대응 아이패드 앱 찾기!”
▶ 감성 충만 '갤럭시노트 아트페어, Wish Note' 개최
▶ 신형 ‘싼타페’ 출시 ‘7년만’ … 4,300억원 투자한 결과?
▶ 기아 ‘K9’ 실내공간 들여다보니 “웅장한 디자인에 감탄”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