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출마자 페이스북 활용은 `필수?'

인증샷, 카톡 등 감성 선거공략 다양

선거 열기가 서서히 달아오르면서 총선 예비후보들의 인맥 서비스(SNS)도 뜨거워지고 있다.광주 예비후보들은 '요즘 대세'로 일컬어지는 페이스북을 통해 정책제안을 하는 것은 물론 유명 정치인과의 '인증 샷', 고민, 감성 등 개성을 담아 인지도 쌓기에 나섰다.

◇지역 정치인에겐 페이스북이 '딱' = 전국적인 지명도를 갖춘 중앙 정치인은 트위터를, 지역 정치인은 페이스북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트위터는 회당 140자 이내로 메시지를 전달해 속도감과 전달력이 크다.반면 페이스북은 긴 글을 통해 진정성을 전하고 열독률도 높일 수 있어 단문으로 시선을 끌기 어려운 지역 정치인에게 적합하다는 반응이다.

10~20대는 트위터를, 30~40대는 페이스북을 즐기는 경향도 예비후보들이 페이스북을 공략하는 이유 중 하나다.

이상갑 예비후보는 "트위터가 광장이라면 페이스북은 사랑방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라며 "많은 사람을 상대하기에는 트위터가 효과적이겠지만 한쪽 귀로 듣고, 한쪽 귀로 흘리는 성향이 생기기도 해 안정적인 '사랑방'을 선호한다"고 귀띔했다.◇선거운동 정보ㆍ인증 샷은 '필수' = 오병윤 예비후보는 1일 아침 출근길 시민 인사를 마치고 만둣국을 먹는 사진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출근길 인사, 오뎅 등 길거리 음식을 먹는 장면은 예비후보들의 페이스북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추위에 아랑곳하지 않고 유권자에게 다가서는 모습을 내보이기에 제격이기 때문.
유명인과 함께 한 인증 샷도 곧잘 등장한다.이병훈 예비후보는 최근 무등산에 오른 손학규 민주통합당 전 대표, 김두관 경남지사와 각각 함께 찍은 사진을 올려 눈길을 끌었다.

참여정부 시절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지낸 이민원 예비후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찾은 사진을 올렸다.

김대중 전 대통령 비서관 출신인 최경환 예비후보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당시 이희호 여사의 동향을 수시로 소개했다.

선거사무소 개소식 사진, 언론에 나온 자신의 기사를 포스팅하는 것도 예비후보들에게는 필수 홍보전략이다.

◇개성ㆍ인간미 '물씬' = 전갑길 예비후보는 '팔불출'을 자처하며 출타한 아내를 그리워하는 글을 올리는가 하면 반려견을 안고 있거나 서민의 짐을 상징하는 지게를 진 사진 등을 게시해 '이미지 메이킹'을 시도했다.

장연주 예비후보는 "선거운동 하다 보면 한 끼에 두 번 밥 먹을 때도 있고 쫄쫄 굶을 때도 있다.

집의 아이들도 먹을 게 없다 하니 장 봐서 들어가야겠다"며 여성후보들의 파이팅을 외치기도 했다.

인기 TV프로그램인 '나는 가수다', '무한도전'의 영상을 올리거나 영화 포스터에 자신의 얼굴을 합성해 친근감을 조성하려는 후보들도 눈에 띈다.

정남준 예비후보는 굴 파는 할머니, 떡집 주인, 택시기사 등 선거운동 중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를 38편까지 연재했다.정 예비후보는 "SNS 소통이 강조되는 시대에 페이스북, 카카오톡, 블로그 등을 전혀 못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국민의 대표로 적절하지 않다"며 "새 정치ㆍ인물을 바라는 소리 없는 사람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연합뉴스) 손상원 기자 sangwon700@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