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기회복 훼방꾼 '부메랑 차일드'

대학 졸업ㆍ취직해도 부모품으로…'새집ㆍ새살림' 경제 효과 사라져
지난 5월 대학을 졸업한 홀리스 로마넬리(22)는 졸업식 직후 미국 코네티컷주 브랜퍼드 카운티의 부모님 집으로 돌아왔다. 기숙사 생활을 하는 미국 대학생들은 졸업 후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로마넬리와 그의 친구들은 대부분 독립을 포기했다. 분가할 능력이 없어서다. 부모님 집에 머무르며 로마넬리는 임차료를 포함해 많은 돈을 아끼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중개업자와 가구업체 등은 그만큼 돈 벌 기회를 잃어버리고 있다.

고용시장 악화로 로마넬리 같이 부모의 집으로 돌아오는 '부메랑 차일드(boomerang child)'가 늘면서 미국의 경기 회복이 늦어지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들이 분가할 때 지출하는 임차료,부동산 중개수수료,가구 구입비,케이블TV 가입비 등 소비가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무디스애널리틱스의 마크 잰디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대졸자들의 분가,이혼,이민자 전입 등으로 한 가구가 생길 때마다 발생하는 경제적 파급 효과가 14만5000달러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청년실업률이 높아지면서 신규로 가구가 생겨나는 속도가 크게 떨어졌다.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130만가구가 새로 탄생했지만 지난해에는 95만가구가 생기는 데 그쳤다. 25~34세 사이 젊은이 중 부모와 함께 사는 사람의 비율은 2007년 11.8%에서 지난달 말 14.2%로 늘어났다.

뉴욕=유창재 특파원 yoocoo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