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半전세' 고통 ] "전세 5000만원 대출받고 30만원 월세로…내 집 마련 물건너갔어요"

● 허리 휘는 서민들

아파트서 빌라로 서울서 경기로…외곽지역 전셋집만 전전
사회초년병 자본축적 기회 잃어 중산층 진입은 꿈도 못꿔
월세 대느라 저축은 크게 줄어…허리띠 졸라매도 가계부는 구멍

서울 목동아파트에 전세로 사는 전업주부 양모씨(41)는 가계부만 보면 속이 새카맣게 타들어간다.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 두 아들을 둔 양씨 가족의 수입은 중소기업 간부인 남편 김모씨(45)의 월급 421만원이 전부다. 남편 월급이 작년보다 10만원 올랐지만 구멍 뚫린 가계부를 메우기가 힘겹다. 전셋값 일부를 매달 월세로 내는 반(半)전세로 전세 계약을 맺은 게 이유다.

◆월세 탓에 멀어진 내집 마련양씨는 작년 10월 이전까지만 해도 그럭저럭 가계를 꾸려갈 수 있었다. 저축도 어느 정도 하고,전세금에 약간의 대출을 보태면 몇 년 후 내집 마련이 가능할 것이란 희망도 가졌다. 작년 9월부터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은 전셋값은 양씨의 희망을 어둡게 만들고 있다. 반전세 계약으로 작년 11월부터 꼬박꼬박 나가는 월세(30만원)와 대출금 이자(31만원)는 적잖은 부담이다. 2년 새 1억8000만원에서 2억8000만원으로 1억원 오른 전셋값을 대느라 연리 7.4%의 금리로 5000만원을 빌리고 나머지를 월세로 돌린 데 따른 것이다.

빠듯한 생활비 탓에 학원비를 줄였지만 사교육비는 여전히 가계를 짓누르고 있다. 중학교 3학년에 올라가는 첫째는 영어학원(월 30만원) 수학학원(30만원) 중국어학원(25만원) 국어학원(12만원)을 다닌다. 과목을 줄이고 저렴한 학원을 골라도 월 100만원에 가깝다. 국 · 영 · 수 · 중국어를 제외하고도 과학 한자 등 3~4개를 기본으로 더 배우는 주변 또래들과는 비교가 안 된다. 여유가 없어 아직 초등학생인 둘째는 수학(20만원) 영어(18만원) 두 과목만 학원에 보낸다. 부족한 과목은 월 10만원짜리 '인강(인터넷 강의)'을 활용한다.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휴대폰은 가급적 수신용도로만 사용하고 외식도 자제하고 있지만 생활비를 더 이상 줄이기는 어렵다. 한파에 구제역까지 겹쳐 배추 무 같은 채소류와 우유 돼지고기 등은 값이 1년 새 최고 두 배나 뛰었다. 양씨는 "더 나은 교육 여건을 찾아 이사한 만큼 첫째가 고교에 진학하기 전까지는 아무리 힘들어도 목동에서 버틸 작정"이라며 "허리띠를 졸라매느라 가계부가 누더기로 변했지만 그보다 더 답답한 것은 집도 없고 저축도 못해 국민연금 이외에는 뾰족한 노후대책이 없다는 점"이라고 하소연했다.

◆외곽 떠도는 전세유민 속출

힘겨워도 생활 터전을 지킬 수 있는 양씨는 그나마 나은 편이다. 너무 오른 전셋값 탓에 외곽으로 나가는 '전세 유민(流民)'이 적지 않다. 2009년 7월 판교신도시 봇들마을 전용 85㎡로 이사했던 박영진씨(51 · 자영업)는 전세 재계약을 6개월 남겨두고 있지만 벌써부터 걱정이 태산이다. 전셋값이1억9000만원에서 최근 3억5000만원으로 뛰어서다. 올봄에 고3이 되는 아들의 통학거리가 크게 멀어지지만 1억6000만원을 도저히 구할 수 없어 전셋값이 싼 용인 외곽으로 나가야 할 처지다. 박씨는 "내 수입으론 전셋값을 따라잡을 수 없어 이러다간 수도권 외곽지역 전셋집을 전전하는 '변두리 인생'으로 전락할까 두렵다"고 토로했다.

◆허물어지는 중산층 기반

전문가들은 확산되는 반전세가 단순히 주택 문제에 그치지 않고 우리 사회의 성장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주택임대 시장에서 반전세 물건이 크게 늘고 월세 금액이 높아지면 가처분소득이 그만큼 줄어들어 '내집 마련→집값 차익 발생→중산층 진입'이라는 전통적인 흐름이 단절된다는 점에서다. 신혼부부나 사회초년병 등은 자본 축적 기회를 잃게 돼 중장기적으로는 소비 및 경제활동이 위축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김호철 단국대 도시계획 · 부동산학과 교수는 "청년 실업과 비정규직 등 취업난의 여파로 '88만원 세대'라고 지칭되는 젊은 세대가 소득의 상당 부분을 월세로 내면 부를 쌓기가 힘들어진다"며 "이로 인해 경제성장도 정체될 수 있어 종합적인 전세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