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 부머 '생계형 창업'의 덫] (下) 검증된 아이템 고르고 관련 법률지식 습득을

(下)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 절실
퇴직한 '베이비부머'들이 창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준비만이 답이다. 퇴직하자마자 쫓기듯 창업부터 하고 보는 것은 실패의 지름길이다. 따라서 여유를 갖고 단계별 전략을 짜보는 게 반드시 필요하다.

사전 준비는 창업에 나서기 전 6개월에서 1년의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게 기본이다. 이 기간에 업종 선정,시장조사,사업타당성 검토,상권 및 입지 분석 등의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자기 사업을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세무나 법률 지식도 이 기간에 습득해야 한다. 공인된 기관에서 창업 교육을 받는 것도 좋다. 가급적 관심 있는 분야에서 직접 일해보면서 실무 경험을 쌓는 것도 이 단계에서 해야 할 일이다. 업종을 고를 때는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 흔히 업종을 선정할 때는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을 두루 고려해야 하지만 베이비부머는 안정성에 중점을 둬야 한다. 업종의 수명 주기가 길고 시장에서 검증된 아이템을 고르는 게 바람직하다. 하나부터 열까지 자신이 모든 것을 챙겨야 하는 개인 독립점포를 내기보다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형태로 창업하는 게 손쉬운 방법이 될 수 있다. 단,제대로 된 우량 가맹본사를 찾아야 한다는 게 관건이다.

창업자금 전략을 세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몰빵'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욕심을 부리지 말고 5000만~1억원 정도의 창업비용이 드는 소규모 자영업으로 시작했다가 시간이 지나 사업 규모를 더 키우면 된다.

점포 운영 전략 중 베이비부머에게 권장할 만한 것은 가족 창업이다. 배우자와 함께 창업해 부부가 함께 인생 2막을 꾸려가는 것도 좋고,자녀들을 가게 운영에 참여토록 해 인건비 절감 등 경영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가족 창업은 체력 부담을 덜고 심리적 안정감을 얻는 데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강창동 유통전문기자 cdka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