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첫 원전, 원자로심에 연료 주입

"내년 초 첫 전력 생산"

이란은 자국 첫 원자력발전소인 부셰르 원전의 원자로심에 핵연료를 주입했다고 26일 밝혔다.이란 국영 프레스TV는 이날 오전 원자로심에 핵연료를 주입하는 작업이 시작됐다며, 163개의 연료봉이 원자로심에 모두 장착돼 연료 주입작업이 마무리되면 원전가동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날 첫 연료 주입 작업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감독관의 감독 하에 이뤄졌으며 부셰르 원전의 첫 전력 생산은 내년 초 가능할 전망이라고 방송은 전했다.

이날 원자로심 연료 주입 작업은 당초 예정보다 두 달 가량 지연된 것이다.일각에서는 원전 운영 시스템이 신종 컴퓨터 바이러스 `스턱스넷(Stuxnet)'에 감염돼 작업이 지연됐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이란 정부는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작업이 당초 예상보다 늦춰졌다고 밝혔다.

수도 테헤란에서 남서쪽으로 1천200km 떨어진 부셰르 지역에 자리 잡은 이 원전은 1천MW급 가압경수로형 원전이다.

총공사비 10억달러가 투입된 부셰르 원전은 친미 성향의 팔레비 정권 아래 미국의 지원으로 1975년 1월 착공됐지만, 이슬람혁명과 이란-이라크 전쟁 등이 겹치면서 공사가 중단됐다가 1995년 이후 러시아의 지원으로 지난 8월 완공됐다.서방은 이란의 원전 가동이 핵무기 개발에 악용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핵연료 선적 및 운송, 사용후 핵연료 반환까지 전 과정을 다른 나라인 러시아가 담당하고 있어 부셰르 원전이 핵무기 개발에 악용될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워싱턴에 본부를 둔 미국과학자연맹(FAS) 소속 연구원은 부셰르 원전을 통한 핵무기 개발은 이론적으로 합당한 우려지만 현실적으로는 매우 어려운 일이며, 이란이 핵 물질을 불법적으로 사용한다면 유엔(UN) 측이 이를 감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럽연합(EU)은 내달 15∼1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P5+1 그룹(유엔 상임이사국+독일)과 이란 간 핵협상을 재개하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이란은 긍정적인 입장만 밝혔을 뿐 회담에 응하겠다는 공식적 답변은 발표하지 않았다.

(두바이연합뉴스) 강종구 특파원 inyon@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