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황식 "4대강사업 중단시킬 만한 부당성 없다"

"軍 가산점제, 상징적 의미있어 최소부분 반영 옳다"

김황식 국무총리 후보자는 29일 4대강 사업의 타당성 문제와 관련, "사업을 중단시킬 만한 부당한 사항은 없었다"고 밝혔다.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특위 청문회에 출석해 이같이 말하고 "그래서 감사원은 어떤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해야 예산 낭비를 줄일 수 있느냐로 감사 초점을 옮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후보자는 "감사원의 4대강 사업 감사 목적이 사업 타당성을 감사하는 것이냐, 시행을 전제로 하고 사업 효과 극대화 및 예산 절감이냐"는 한나라당 고승덕 의원의 질문에는 "후자가 목적"이라고 답했다.

김 후보자는 또 대법관 시절 상지대 판결 논란에 대해 "전원합의체 판결의 경우 주심은 판결에 큰 영향이 없다"며 "13분의 1의 권한만 행사한다"고 밝혔다.그는 한나라당 이두아 의원이 `군 가산점제 재도입'에 대한 견해를 묻자 "여러 방안 중에 군 가산점이 있는데 그 범위가 너무 넓어져서는 안된다"면서 "국방의 의무를 위해 헌신하고 봉사한 시간은 어떤 형태로든 보상돼야 하며, 군 가산점제는 상징적 의미가 있어 최소한 부분에서 반영시키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감사원장 재직시 청와대 수시보고 논란과 관련, "지난 2년간 10번 (청와대에) 들어갔다.

두 달에 평균 한 번꼴로 간 셈"이라며 "감사원장의 수시보고가 법률로 정해진 제도인데 대통령 스타일에 따라 보고 횟수가 달랐다"고 말했다.그러면서 "김영삼 전 대통령의 경우 1∼2주 간격으로 감사원장 보고를 받았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임기 중반 이후에는 수시보고를 대면해서 받지 않았다.

이명박 대통령의 경우 너무 자주도 아니고 뜸한 것도 아니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우 기자 jongwoo@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