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의 추락…6년새 5%P 줄어

삼성硏 분석…전체 가구의 55%
소득 비중도 감소 '양극화' 심화
지난 6년간 한국 중산층 가구 비중이 약 5%포인트 감소하고 이들의 소득 합계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줄어 '양극화'가 심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한국 중산층의 변화와 경제사회적 결과'보고서에서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3년 60.4% 수준이던 중산층 가구 비중이 작년엔 55.5%로 4.9%포인트 줄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중산층 가구 비중이 6년 전에 비해 3.4%포인트 줄어든 66.7%'라고 설명한 통계청 조사 결과에 비해 상황이 나쁘다는 뜻이다. 연구소는 전체 소득분포의 중간값(중위소득)을 기준으로 50~150% 소득가구를 중산층으로 정의했다.

예컨대 중위소득이 연 2581만원인 2003년엔 가구소득 1291만~3872만원을 중산층 가구 기준으로,중위소득이 2664만원이던 작년에는 1332만~3996만원을 중산층 가구 기준으로 삼았다.

연구소는 중산층 비중이 줄었을 뿐 아니라 소득 합계가 전체 가구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54.0%에서 48.1%로 5.9%포인트 감소했다고 전했다. 이는 중산층의 소득 증가율이 국민 전체의 평균소득 증가율보다 떨어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질 처분가능 소득을 기준으로 한국의 평균 가구소득은 2003년 2846만원에서 작년 3055만원으로 7.4% 증가했지만 이 기간 동안 중위소득은 3.2% 증가에 그쳤다. 특히 연간 소득이 중위소득의 75~125%에 해당하는 '핵심 중산층'의 비중은 2006년 기준 31.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21개국 중 16번째였다. OECD 평균은 34.7%다.

연구소는 "기업 규모와 업종 등에 따른 임금 격차가 OECD 선진국보다 크고 저임금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점이 중산층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중산층을 살리는 방안으로 "생산성과 무관하게 학력 차별 등에 의해 굳어진 임금 격차와 지나친 주거비 · 교육비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