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시원한 할인'…티켓 한장 값으로 둘이서 영화 봤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극장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더위도 피하고 영화도 볼수 있어서다. 자주 영화를 보다보면 티켓값도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온다. 신용카드를 이용하면 영화 티켓값을 적게는 2000~3000원,많게는 1만원 이상 할인받을 수 있다. 영화 티켓을 할인받을 수 있는 신용카드를 알아본다.

◆영화 특화 카드특정 영화관에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를 '영화 특화 카드'라고 부른다. 신한카드의 'CGV 마니아 카드' '메가박스 2030/레이디카드' '신한 CINUS 2030/레이디카드' 등이 있다. 이 카드들은 각각 CGV 메가박스 씨너스에서 영화를 볼 때 전월 사용액이 100만원 이상이면 1만4000원,50만~100만원이면 7000원,30만~50만원이면 5000원,10만~30만원이면 3000원을 할인해 준다. 월 1회,연 12회까지 할인된다. 발급일로부터 1개월은 기본 3000원 할인이 적용된다. 2030카드는 남성이,레이디카드는 여성이 발급받을 수 있다.

삼성카드의 '메가티즌 삼성 지엔미 포인트 카드'와 '메가티즌 삼성 애니패스 포인트카드'를 이용하면 메가박스 영화 관람금액의 7000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영화관에서 직접 표를 사거나 인터넷으로 예매할 때 모두 할인받을 수 있다. 월 1회,연간 8회까지 할인 혜택을 받는다. 영화 관람금액의 10%를 메가 포인트로 적립해줘 나중에 다시 영화를 볼때 포인트를 사용해 티켓값을 지불할 수도 있다.

롯데카드는 롯데시네마와 제휴해 '롯데시네마멤버쉽 롯데카드'를 선보이고 있다. 이 카드를 이용하면 전국 롯데시네마 상영관에서 관람료 3000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영화관람권 구매시 결제금액의 1%가 롯데포인트로,10%가 시네마포인트로 각각 적립된다. 적립된 시네마포인트는 영화관람권 등으로 교환할 수 있다. 카드회원들은 미개봉 최신영화 시사회와 각종 이벤트에 우선적으로 참여 할 수 있게 된다.

'현대카드V'는 CGV와 온라인 영화예매 사이트 맥스무비(http;//www.maxmovie.com)에서 전월 사용 실적에 따라 한 달에 최고 1만원까지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사용 실적이 30만~60만원이면 최고 4000원,60만~90만원이면 최고 6000원,90만원 이상이면 최고 1만원을 할인받는다. 하루 1회,월 2회,연간 6회까지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비씨카드의 '비씨 트랜스폼카드'는 CGV 메가박스 롯데시네마 씨네시티에서 8000원 이상 결제 때 4000원 할인,8000원 미만 결제 때 2000원 할인(월 1회 제공,전월 사용실적 30만원 이상 시 제공)되는 영화 할인 카드다. ◆일반 카드에도 영화 할인 혜택

영화 특화 카드가 아니더라도 상당수의 신용카드가 영화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신한카드의 '아침애(愛)카드'는 맥스무비에서 조조영화 티켓 구입시 월 1회 2장 무료,맥스무비에서 일반 티켓 구입시 한 달에 장당 2000원씩 총 4000원 할인 혜택을 준다.

'현대카드M' 고객들도 M포인트를 활용해 영화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전국 롯데시네마와 프리머스(장안 김천 오산 공주 춘천점 및 온라인 예매 제외),맥스무비에서 티켓 구매 시 장당 2000원씩 M포인트를 사용해 결제가 가능하다. 구매 매수와 횟수에 제한이 없어 폭넓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비씨카드 '비씨 레인보우카드'는 요일별 각각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다. 1주일 중 목요일은 전국 CGV극장에서 본인 4000원,표를 2장 구매시 최대 7000원 할인(월 1회,전월 사용실적 20만원 이상시 제공)을 받을 수 있다.

체크카드 중에서도 영화 할인이 되는 카드가 있다. KB카드가 20대 고객들을 타깃으로 출시한 'KB 비트윈(Be-Twin) 체크카드'는 CGV 메가박스 프리머스에서 영화 관람료 20%를 할인해 준다. 그 밖에 △외식(아웃백 VIPS TGIF 베니건스 세븐스프링스) 평일 10%,주말 15% 할인 △놀이공원(에버랜드 롯데월드 서울랜드) 30% 할인 △교보문고 3% 할인 △GS25 편의점 5% 할인 등의 혜택도 준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