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철 연상케 하는 `동대문 아동 성폭행'

인근 주민 소행…검거에 CCTV 결정적 도움

서울 동대문구에서 발생한 초등생 성폭행 사건의 유력 용의자 양모(25)씨의 범행 수법과 검거 과정은 최근 영등포에서 초등학생을 성폭행한 김수철 사건과 여러모로 닮아 보인다.이런 점을 들어 이들 두 사건에서 나타난 범행수법 등을 자세히 분석해 유사범죄를 막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양씨와 김수철은 자신이 범행 대상으로 삼은 어린 여학생이 사는 집 인근의 주민이었다.

둘 다 지리에 밝은 곳을 범행 무대로 한 것이다.양씨가 사는 곳은 동대문구에 있는 피해 아동의 집에서 직선거리로 불과 500m 떨어진 반지하방이다.

경찰에 따르면 그는 지난달 26일 낮 12시20분께 동대문구 장안동의 한 주택가 골목에서 놀던 초등학생 A(7)양을 비어 있던 A양 집으로 데리고 들어가 성폭행하고 달아났다.

김수철 역시 영등포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피해 아동을 흉기로 위협해 납치하고서 학교에서 500여m 떨어진 자신의 집으로 데려가 무참히 성폭행했다.범행 장소는 여아의 집에서 불과 10여분도 채 안 걸리는 곳이었다.

범행이 이뤄진 두 집을 살펴보면 집 주변에 좁은 골목길이 미로처럼 나 있고 2층이나 3층짜리 다세대주택이 밀집한 지역에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지난 2월 부산에서 발생한 김길태 사건의 범행 현장도 주택이 다닥다닥 붙어 있어 골목길이 많은 재개발지역의 빈집이었다.양씨와 김수철을 잡는 데 CCTV가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는 점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영등포서는 학교 주변의 CCTV에 뚜렷이 나온 김수철의 인상착의를 토대로 탐문에 나서 범행 9시간 만에 집 근처에서 김을 체포했다.

동대문구 성폭행 사건의 경우 양씨의 뚜렷한 인상착의가 CCTV에 나오지는 않았지만 CCTV에 나온 용의자의 구부정한 모습과 걸음걸이 등이 용의자를 특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경찰 관계자는 16일 "CCTV 수사 등을 근거로 탐문한 결과 검거 전날인 14일 양씨의 거주지에서 양씨를 만나 구강세포를 채취했다"며 "범인이 범행 현장에 남긴 체모에서 추출한 DNA가 양씨의 것과 일치한 점 등을 근거로 양씨를 용의자로 특정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양씨와 김수철 모두 범행 이후 도주를 계획하다가 수사망을 좁혀 들어간 경찰에 붙잡혔다는 점도 두 사건의 공통 분모다.

양씨는 거주지에서 20여일 은신하다가 경찰을 만난 뒤 수사망이 좁혀드는 것에 심적인 압박감을 느끼고 왼손 손목을 그어 자해했고, 연락을 받고 상경한 부모의 도움으로 제주도로 도주했지만 결국 경찰에 검거됐다.

부산으로 도피를 생각한 김수철도 범행 이후 사우나를 다녀온 뒤 짐을 싸러 집에 들렀다가 덜미가 잡혔다.동대문서 관계자는 "성폭행범을 잡아놓고 보면 범행 수법과 은신, 도주 과정 등에서 기존의 성폭행범과 유사점을 띤 경우가 많다"며 "장안동 성폭행 사건의 경우 CCTV 성능이 뛰어나지 않아 애를 먹긴 했지만 용의자를 특정하는 데 CCTV가 큰 부분 기여를 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kong79@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