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총리 '세종시案' 윤곽…'산업·교육' 강화

정운찬 국무총리가 구상하는 세종시 구상의 윤곽이 일부 드러났다.

현재 6-7%에 불과한 세종시의 자족도(自足度)를 대폭 끌어올리는 것을 골자로 산업과 교육 기능을 확충한다는 것이 그의 복안이다.정 총리는 특히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원안 플러스 알파(α)' 방안에 대해서도 "행정기관과 아파트만 있는 도시가 된다"는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향후 정부와 여권 내부에서 세종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정 총리는 29일 총리공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원안대로 하면 세종시의 자족도는 6-7%에 그친다"며 "이대로 가면 세종시는 유령도시가 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세종시의 자족기능 보완 방안과 관련해 "기업이 들어온다든지 연구소나 학교가 들어온다든지, 다른 기능이 많이 보완되면 자족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정 총리는 특히 기자간담회에 앞서 자유선진당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박상돈 의원이 "(박 전 대표의) `원안+α' 방안에는 찬성한다"고 밝히자 "그렇게 되면 나라의 행정적.경제적 비효율성이 크다"면서 "자족도는 6-7%에 불과하고 행정기구와 아파트만 있는 도시가 된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세종시 원안인 `9부2처2청' 이전에 반대한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것이다.

대신 기업, 연구소 등 산업 및 연구개발(R&D) 기능과 대학을 비롯한 교육 기능을 보완함으로써 학교와 일자리가 있는 자족도시를 만들어야 한다는 게 정 총리의 구상이다.특히 정 총리는 박 전 대표의 `원안 플러스 알파' 방안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나선 만큼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원안 추진을 주장하는 야권은 물론 박 전 대표를 비롯한 여당 내 반대 의견을 설득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기 때문이다.

정 총리가 간담회에서 박 전 대표를 언급하며 "직접 만나서 대화를 통해 설득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그는 "박 전 대표가 정말 무엇을 생각하는지를 듣고 정리된 제 생각을 말하면 박 전 대표도 상당히 동의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결자해지(結者解之)의 심정으로 제 명예를 걸고 최선의 방안을 찾아 세종시를 명품도시로 만들겠다"며 "세종시 예산도 늘었으면 늘었지 축소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전날 충북 4군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이 민주당에 패한 데 대해서도 "어제 결과는 세종시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연합뉴스) 강영두 장하나 기자 k0279@yna.co.krhanajjang@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