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자전거 교통사고 대책 없나

전용도로 확충.이용자 보호 법제화 시급
이용자들 "車와 함께 달려..아찔한 순간 많다"

최근 수년 간 자전거 교통사고의 급증 추세는 우리나라가 아직 `자전거 후진국'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보여 준다.고유가 시대에 교통비용을 낮추고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도시오염을 줄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는 자전거가 운동량이 부족한 현대인들의 건강 레저용으로 새삼 주목받고 있으나, 자전거 이용자들을 위협할 수 있는 요소들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어 건강한 자전거 문화 확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자전거 이용을 마음놓고 즐길 수 있는 `자전거 교통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전용도로의 확충과 관련 교통법규 개선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 통계상의 자전거 도로는 `빛좋은 개살구'
자전거 교통사고 급증의 원인으로는 우선 자전거 이용자의 증가 추세에 부응하지 못하는 미약한 기반시설을 꼽을 수 있다.주말에 자전거 타기를 즐기는 레저활동 인구는 물론 시내에서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도 크게 늘고 있는 추세지만 자전거 전용도로는 턱없이 부족하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내 자전거 도로는 2003년 586㎞, 2005년 629㎞, 지난해 729㎞로 늘어 수년 새 크게 늘어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 보면 `빛좋은 개살구' 수준에 불과하다.총 728㎞에 달하는 자전거 도로 중 자전거만 다닐 수 있는 `자전거 전용도로'는 123㎞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자전거 도로는 인도 위에 선을 긋고 자전거 그림을 그려놓은 `보행자 겸용 자전거 도로'이다.

인터넷 카페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의 한 회원은 "출근하는 길에 자전거 도로가 있는데 주차된 자동차가 길을 막는 것은 일쑤고, 보행자들이 다니면서 자전거가 와도 비켜주지도 않는다"고 말했다.이 카페에는 매일같이 대여섯건씩 자전거를 타다 교통사고를 당한 회원들의 사연이 올라오고 있다.

더구나 자전거 전용도로 123㎞ 중 도로변 전용도로는 44㎞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하천이나 공원변에 있다.

총 8천82㎞에 달하는 서울시내 도로 중 자전거 전용도로가 갖춰진 도로는 1%에 훨씬 못 미치는 것.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회사원 이모(29)씨는 "자전거 전용도로가 거의 없다 보니 쌩쌩 달리는 택시, 트럭 등과 함께 도로를 달려야 한다.

자동차가 내 바로 옆을 스쳐지나갈 때는 정말 아찔하다"고 말했다.

◇ `자전거 보호' 교통법규 마련해야
현실은 이렇지만 자전거 이용자가 도로 주행시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법적 장치는 전무한 실정이다.

자전거는 현행 도로교통법에서 `차'로 규정돼 있을 뿐 자전거 이용자를 보호토록 하는 별도의 교통 법규가 거의 없다.

예를 들어 자전거 이용자가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를 주행하다가 좌회전을 할 때는 다른 차량처럼 중앙선 쪽으로 접근해서 좌회전해야 해 극히 위험한 상황이 연출된다.

1995년부터 시행된 `자전거 이용 활성화법'에는 `자동차 운전자는 도로 주행시 자전거가 옆을 지나갈 때 안전을 고려해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는 조항이 있다.

하지만 이를 어길 경우 부과되는 과태료 등이 없어 사실상 유명무실한 조항에 불과하다.

독일, 네덜란드 등 `자전거 선진국'으로 불리는 나라에서는 자전거가 도로를 주행할 때 자동차와 별도의 교통신호를 적용받도록 해 자전거 이용자를 철저하게 보호하고 있다.

독일에는 자동차가 도로에서 자전거의 1m 이내로 접근할 경우 과태료를 부과하는 규정까지 있다.

자전거사랑전국연합의 김영복 서울본부장은 "말로만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외칠 것이 아니라 자전거 이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전거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헬멧을 반드시 착용하는 등 자전거 이용자들의 안전의식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센터의 강동수 교통안전팀장은 "자전거 이용시 헬멧을 착용하지 않고 도로를 주행하다 사고가 나면 가벼운 부상에 그칠 사고가 치명적인 중상으로 커질 수 있다.반드시 헬멧을 쓰고 자전거를 타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ssahn@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