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휴보 '미국 로봇 교과서'로 쓰인다

KAIST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인간형 로봇)이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의 모델로 쓰인다.

미국으로 건너간 한국산 로봇은 KAIST 오준호 교수팀이 개발한 '휴보(Hubo)'.오 교수팀은 지난해 10월 휴머노이드 로봇 응용기술 개발 국제공동연구프로그램을 진행 중인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으로부터 1년에 8만 달러씩 5년간 40만 달러의 연구비를 받기로 하고 휴보를 연구용으로 임대해줬다.

이번에 임대된 휴보는 뛸 수 있게 만든 '휴보2' 모델로, 첫 모델(65㎏)보다 가벼운 45㎏ 무게로 만들어졌고, 걷는 속도도 시속 1.2㎞에서 1.8㎞로 빨라졌다. 시속 3.6㎞로 뛸 수 있다.

미국은 인공지능.군사.무인 로봇 기술에는 강하지만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이 한국이나 일본보다 취약하다.휴보를 모델로 삼는 국제공동연구에는 미국 드렉슬대를 버지니아공대, 펜실베이니아대 등 5개 대학교가 참여하고 있다.

연구를 주관하는 드렉슬대는 온라인 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온라인 휴보'를 연구하고 있고, 버지니아공대는 작고, 가볍고, 저렴한 연구용으로 만드는 '미니 휴보'를 연구한다.

KAIST는 휴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공동 연구에 참여 중인 5개 대학 대학원생 20여명의 교육도 담당한다.오 교수는 "이번 공동연구가 휴보의 뇌에 속하는 소프트웨어를 강화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공동 연구로 인한 연구성과에는 'KAIST 휴보'라는 명칭이 기재된다.

휴보가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의 '아버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kjunho@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