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수도권규제, 무조건 풀 계획없다"

이명박 대통령은 1일 수도권 규제완화 문제와 관련, "무조건 수도권 규제를 풀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충청북도 업무보고를 받은 자리에서 "수도권 규제 문제는 지방발전에 지장이 없는 선에서 잘못된 규제를 바로잡겠다는 취지"라면서 이같이 말했다.이 대통령은 특히 "앞으로는 지역에 갈 기업이 서울로 집중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의 이 발언은 지방과 수도권이 균형발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수도권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수도권 만으로는 10년 안에 4만달러 소득을 이뤄낼 수 없다.수도권이 더 집중이 되면 인건비와 땅값 상승으로 어려움이 있는 만큼 수도권의 경쟁력이 더 떨어지기 전에 지방을 빨리 발전시켜야 한다"면서 "전국이 골고루 발전할 수 있도록 지방마다 차별화된 발전계획을 수립해 집행하면 중앙 정부가 적극 지원하고 후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지방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이라면서 "지역에 맞는 특화된 계획을 갖고 경쟁해 가면 국가 경쟁력도 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일찍이 충북이 `경제특별도'를 내건 것은 아주 시의적절했다"면서 "경제특별도라고 하면 사람들이 `문화는 없느냐', `다른 것은 없느냐'고 할지 몰라도 경제가 살면 일자리도 생기고 서민이 행복해질 수 있고 문화와 역사를 꽃피울 수 있다"고 역설했다.이 대통령은 충북지역이 추진하고 있는 과학 비즈니스 벨트와 관련, "대한민국은 원천기술로 과학입국을 해야 한다"면서 "여러 도시로 과학벨트를 확대하는 것은 좋은 생각이며,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실현가능한 것부터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또 충북지역의 관광산업 계획과 관련, "10억원 매출을 기준으로 할 때 첨단산업은 8-9명 정도의 고용창출이 일어나지만 관광산업은 50명 가까운 일자리를 창출한다"면서 "소득 3만-4만 달러가 시대가 되면 모두가 물길을 찾아오는 수상관광이 중심이 된다.

이런 측면에서 (충주호 프로젝트 등) 충북이 제안한 관광산업은 미래지향적이며 타당성이 있다"고 평가했다.이 대통령은 "신성장 에너지 산업과 관광산업은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비해 에너지 절감 차원에서도 바람직하지만 무엇보다 좋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면서 "태양 에너지를 한 곳에서 집중생산해 소재까지 개발한다는 계획은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크게 발전시킬 수 있으며, 한국은 비록 지금 시작해도 늦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세계경제 상황에 언급, "세계가 지금 경쟁적으로 몸살을 앓고 있고, 한국도 예외일 수 없다"면서 "이렇게 어려운 때일수록 잠재 성장력을 키워 나가고, 변화해야 할 것을 변화시켜 나가면 경제회복의 기미가 있을 때 가장 빠른 발전을 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 심인성 기자 hjw@yna.co.krsims@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