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업계 '安心 마케팅' 팔 걷었다

닭고기업체들이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의 확산으로 판매 부진에 시달리면서 AI가 처음 터졌던 2003년 악몽이 재연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업체들은 AI 인식 개선과 닭.오리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공동마케팅을 펴는 등 매출 회복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11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에까지 AI가 확산되면서 닭고기업체들의 매출 감소폭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달 초 AI 발생 초기 매출이 20~30% 줄어든 수준에서 이달 들어선 50~60%가량 대폭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2003년엔 AI로 인해 업계 3위인 체리부로가 부도를 내고 치킨점.삼계탕집.오리구이점 등 외식업소들이 된서리를 맞은 바 있다.닭고기 매출이 뚝 떨어지면서 마니커 등 일부 업체들은 매일 하던 도계작업을 이달 들어 이틀에 한 번으로 줄였다.

공장을 하루 걸러 쉬는 셈이다.

또 닭고기 재고도 크게 늘어,작년 말 400만마리였던 비축(재고) 물량이 현재 650만마리로 대폭 불어났다.올초 1500원이던 산지 생닭 시세(1kg)도 원가 수준인 1250원으로 떨어졌다.

닭고기업계는 지난해 업체 간 경쟁 심화,사료비 급등으로 1000억원가량 손실을 본 데 이어 지난달 AI 여파로 300억원대 손실이 쌓인 실정이다.

특히 영세업체들의 자금 압박이 가중돼 지난달 말 중소 닭고기업체 우림인티그레이션이 부도가 났다.한국계육협회 관계자는 "최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무리하게 대출금을 회수하려는 금융회사가 있으면 신고해달라는 연락을 받았다"며 "현재로선 생산량을 줄이고 비축하는 것 외에 뾰족한 방법이 없다"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치킨점 프랜차이즈업체들은 공동으로 'AI 바로 알기 및 닭고기 안심 캠페인'과 다양한 경품 행사를 통해 닭고기 소비 회복에 주력하고 있다.

BBQ는 '해피 패밀리 페스티벌'을 이달 말까지 열고 치킨 구매자 중 추첨을 통해 장학금(1명당 300만원),인라인스케이트 등을 준다.

또래오래는 '치킨 먹고 베이징올림픽 가자' 이벤트를 내달 15일까지 열어 당첨자에게 베이징올림픽 여행권 등 다양한 선물을 준다.

네네치킨은 자사 광고모델인 유재석,노홍철 등의 사진과 사인이 담긴 마우스패드를 제작해 나눠준다.이 밖에 치킨외식산업협회 등 9개 단체로 구성된 가금산업발전협의회는 AI 인식 개선을 위한 세미나를 1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을 시작으로 전국 7곳에서 연이어 개최하고 익힌 닭.오리 요리는 안전에 문제가 없음을 집중 홍보할 계획이다.

송태형/김진수 기자 toughlb@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