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재판매 증가율 5년만에 최고

올 들어 소비재 판매 증가율이 신용카드 대란 직전인 2002년 말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자동차와 가전제품 등 내구 소비재 판매 증가율은 2002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았다.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1분기 소비재 판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 증가했다.



이런 증가율은 카드 대란이 일어나기 전이었던 2002년 4분기에 7.2%를 기록한 뒤 가장 높은 수치다.소비재 중 내구재 판매 증가율이 17%로 2002년 1분기 23.6% 이후 최고였으며 의류 운동기구 등 준내구재의 판매 증가율은 6.2%로 지난해 2분기의 6.7% 이후 가장 높았다.

반면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판매 증가율은 2.4%에 그쳤다.

내구재 중 승용차 판매액은 지난해 1분기보다 9.8% 늘었으며 가전 및 가구·통신기기는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다.준내구재의 경우 의류·신발·가방은 같은 기간 7.6%,운동 및 오락용품은 21.1% 증가했지만 기타 준내구재는 오히려 3.9% 감소했다.

비내구재에서는 서적·문구(11.6%) 판매 증가율이 높았으며 음식료품·담배(6%)와 의약품·화장품(4.9%),연료(0.1%) 등도 판매액이 늘어났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에어컨과 컴퓨터 등 내구재를 중심으로 소비가 확대되고 있다"며 "민간소비가 계속 증가할지는 소득과 고용 여건에 좌우되겠지만 소비심리가 개선되고 실질소득 증가세가 확대되고 있는 것은 민간 소비가 회복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보인다"고 말했다.하지만 민간소비의 회복세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 지난달 1일부터 15일까지 백화점과 할인점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1%와 2.9% 감소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올 들어 민간소비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용 확대가 아닌 자산시장 호황에 의한 것이어서 효과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차기현 기자 khch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