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공직 만족도 크게 높아져

공무원들의 공직생활 만족도는 2년전에 비해 크게 높아졌으나 성차별 인식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는 지난해 11월23일부터 12월15일까지 전국 공무원 1천518명(국가직725명, 지방직 793명)을 대상으로 '평등의식과 근무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2002년43.8%였던 공직 만족도가 68.4%로, 24.8%포인트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밝혔다. 특히 지방직 공무원의 공직 만족도는 2002년 40.1%에서 74.3%로 34.2%포인트 높아졌다. 또 `공직사회내에 남녀차별이 있느냐'는 항목에 지방직 62.3%와 여성공무원 64.7%가 `그렇다'고 응답하는 등 전체 40.1%가 성차별이 있음을 인정, 2002년 37.9%보다 2.2%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들은 성차별의 원인으로 ▲공무원 사회의 관행과 보수성(62.3%) ▲사회적관습과 성차별 구조(24.5%) ▲남성공무원 성차별 의식(7.3%) 등을 들었다. 동등한 채용기회, 차별없는 보직 부여, 공정한 승진기회 부여 등을 규정하고 있는 '여성공무원 인사관리지침' 이행실태와 관련, 남성들은 `동등한 복무참여가 가장지켜지지 않는다'(47.2%)고 응답한 반면, 여성들은 `공정한 승진기회가 잘 안지켜진다'(40.8%)고 대답해 대조를 보였다. 희망보직으로 여성은 기획업무(28.2%), 교육훈련(21.6%), 인사업무(20.5%) 등을,남성은 기획(29.8%), 행정관리(21%), 인사업무(20.9%) 등을 꼽았으며, 출산휴가 및육아휴직제 운영과 관련해선 전체의 43.8%가 대체인력 확보의 어려움을 지적했다. 이밖에 현 직무에 대한 본인 스스로의 평가와 관련, 여성들은 업무의 중요성과직무가 능력발휘에 적합하다는 의견이 증가한 반면 업무의 단순성은 감소, 여성공무원 인사관리 정책이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보여줬다. (서울=연합뉴스) 김홍태 기자 hongtae@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