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 평균 남산 면적 22배 산불로 소실"

최근 5년간 한해 평균 남산 면적 22배 가량의 산림이 산불로 소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지보전협회 주최로 24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산불 예방 시스템 구축 국제 심포지엄에서 구길본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이 발표한 현황자료에 따르면 2000∼2004년 한해 평균 남산 면적의 22배 가량인 6천621ha의 산림이 산불로 사라졌다. 특히 2000년에 대형산불로 무려 2만5천953ha의 산림이 소실됐고 2001년 급감해963ha가 사라졌다가 2002년 4천467ha, 2003년 133ha 및 2004년 1천588ha로 매년 큰변동을 보였다. 이처럼 연도별 피해 면적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은 이상 건조기후, 계절풍,돌풍 등 기상악화와 이에 따른 헬기의 운항 제한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산불발생 원인으로는 입산자 실화가 큰 부분을 차지, 지난 5년간 발생한 산불의한해 평균 586건 중 입산자에 의한 실화가 245건으로 무려 42%나 차지했다. 논ㆍ밭두렁 소각 및 쓰레기 소각으로 인한 산불 발생은 154건(26%)으로 그 다음을 이었고 담뱃불에 의한 실화는 61건(10%), 성묘객 실화 42건(7%), 어린이 불 장난16건(3%), 기타 68건(12%) 등으로 나타났다. 또 계절별 산불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봄철 산불이 전체 발생 586건 중 399건(68%)을 차지했으며 여름철은 24건(4%), 가을철 37건(6%), 겨울철 126건(22%)을 차지했다. 최근에는 겨울철 산불발생 빈도가 높아져 대형산불이 난 2000년 179건에서 감소해 2001년 76건, 2002년 146건, 2003년 45건이었다가 2004년 183건이 발생, 큰 폭으로 증가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kaka@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