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 수업료 폭등.. 교육기회 박탈 우려

미국 대학들이 재정난 타개를 위해 수업료를 크게 올림에 따라 소득수준이 낮은 계층이 고등교육을 받을 기회가 박탈되는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주(州) 예산 수지를 맞추기 위해 주 정부들이 공립대학 지원금을 감축, 공립대학 재정 형편이 어려운데 공립대학은 사립대학과 달리 다양한 계층의 학생에게고등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미 칼리지보드에 따르면 지난 9월 시작된 2003학년도(2003.9~2004.8) 미국 공립대학들의 수업료는 2002학년도에 비해 평균 14% 오른 4천694달러였으며 사립대학들의 수업료는 평균 6% 오른 1만9천700달러였다. 작년 소비자물가가 1.9%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대학 수업료 인상폭은 과도한 것으로 지난 20년간 대학 수업료 인상폭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4배나 웃돌았다. 일례로 미국내 최대 규모의 사립대학 가운데 하나인 뉴욕대학의 경우 지난 1982학년도 5천820달러에 지나지 않았던 수업료가 2002학년도에는 2만6천646달러로 3배이상 올랐다. 문제가 이처럼 심각해지자 하워드 벅 매키언(공화.캘리포니아) 하원의원 등 여당인 공화당 소속 의원들까지 나서 부시 행정부의 개입을 촉구했다. 매키언 의원은 "우리가 어떠한 행동도 취하지 않는다면 교육을 받을 여력이 있는 계층과 그럴 수 없는 계층으로 사회가 분열되는 위협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립 메릴랜드대학 학생 대표 티모시 데일은 "수업료 인상은 이를 지불하기에충분히 부유하지는 못한 동시에 재정지원을 받기에는 소득이 너무 많은 중산층에 타격을 준다"고 지적했다. 한편 매키언 의원은 해법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큰 폭으로 수업료를 올리는 대학에 대해서는 연방예산 지원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작년 10월 발의한바 있다. 그러나 이 법안에 대해 적잖은 대학들이 반발했다. 일리노이대학 인문학부의 스탠리 피시 학장은 "주 정부 지원금이 줄어드는데 수업료도 올리지 못한다면 불량품(질낮은 교육)을 생산하는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고 강변했다. (워싱턴 dpa=연합뉴스) economan@yonhapnews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