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들, 내년 성장률 올해보다 상향전망"

국내 최고경영자(CEO)중 다수는 내년 경제성장률이 올해보다 다소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정치자금 관련 기업조사는 경제에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 조속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00개 기업 CEO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11일 발표한 `CEO경제전망조사' 결과에 따르면 CEO들은 2004년도 경제성장률(GDP기준)을 올해(2.6%내외)보다 높은 3-4%선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3%대'라고 응답한 CEO가 38%로 가장 많았고 `4%대'가 35%로 뒤를이었으며 `5%대'(13%), `2%대'(12%), `6%대'(1%)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경총은 "대부분의 CEO들은 내년 성장률이 올해보다는 다소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지만 이는 국내 주요 연구기관의 2004년 경제성장률 전망(4.3-5.8%)보다는 낮은 수준이어서, 성장전망에 대한 CEO들의 부정적 견해가 드러났다"고 분석했다. 경제의 본격적인 회복시기에 대해서는 `2004년 하반기'라는 응답이 54%로 절반을 넘어 가장 많았고 `2005년 상반기'가 22%로 뒤를 이었으며 `2006년 이후'(10%),`2005년 하반기'(8%), `2004년 상반기'(6%) 순이었다. 정치자금 관련 기업조사에 대해 조사대상 CEO의 74%가 `경제에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 조속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13%는 `경제에 큰 충격을 주더라도 광범위한 조사가 필요하다', 8%는 `조사는 정치권에 국한해야 한다'고 각각 답했다. 현 정부의 경제정책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돼야 할 부분에 대해 가장 많은 33%가 `노사관계 안정'이라고 답한 가운데 '자유로운 기업활동의 제도적 기반 강화'가24%로 그 뒤를 이었으며, '시장기능 중심의 구조조정 시스템 정착'(22%), '투자규모확대를 통한 경기활성화 정책의 수립'(21% )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공동화와 관련, 조사대상 기업의 30%가 `이미 생산설비를 해외로 이전했거나 이전을 고려중'이라고 답한 가운데 해외이전의 원인으로는 `고임금'이 39%로 가장 많았으며 `잦은 파업 등 노사관계 불안'(34%), `해고의 어려움 등 노동시장의 유연성 부족'(20%) 순이었다. 내년도 투자계획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53%가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했고 `소폭 축소', `대폭 축소할 것'이라는 대답도 각각 16%, 8%로 조사돼 77%의 기업이 보수적 투자계획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 여부'에 대해서는 `향후 10년 이내'가 50%로 가장 많았고 `7년 이내'(36%), `15년 이내'(7%)가 뒤를 이었으며 `현 정부 임기내 가능하다'고 응답한 CEO는 단 1명에 불과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기자 south@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