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일 북한 외무성 부상 訪中

북핵 6자 회담 북한 수석대표인 김영일 외무성 부상이 22일 베이징(北京)에 도착, 중국 당국자들과 2차 6자회담 개최시기와 의제를 논의했다고 베이징의 서방 외교소식통들이 밝혔다. 김영일 부상의 방중은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아태담당 차관보가 최근 한.중.일순방을 마치고 귀국하고, 알렉산드르 로슈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이 21일 미국 방문길에 오른 것과 때를 같이해 2차 6자회담 개최가 급물살을 타고 있음을 시사했다. 또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은 22일 파스칼 쿠슈랭 스위스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다음 번 6자 회담 분위기는 "훨씬 좋을 것"이라고 말해 차기 6자회담이 조만간 개최될 것임을 내비쳤다. 켈리 차관보는 18~19일에 있었던 베이징 방문에서 차기 6자 회담 개최시기와 대북 안전보장 방안등에 대한 미국 측 입장을 중국에 전달했다 류젠차오(劉建超) 중국외교부 대변인이 지난 20일 말했다. 김영일 부상은 왕이(王毅)중국 외교부 부부장 등 당국자들과 미국 측 제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하고 개최 일자와 대응 방안을 확정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2차회담 개최시기는 일단 12월 17~19일로 묵시적인 합의가 이뤄졌으나 대북 안전보장에 대한 이견이 최종 조율되지는 않은 것 같다고 소식통들은 말했다. 미국측 안은 북한이 핵 개발 계획을 동결하고 핵 포기를 선언하면 미국을 비롯한 관련 당사국들이 서면으로 공동으로 대북 안전 보장을 약속한다는 내용으로 보도됐다. 북한은 그러나 미국이 안전 보장을 하고 다른 관련 당사국들이 이를 연대 보증하고,미국도 대북 안보문서에 `대북 핵 불사용'을 명기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알려졌다. 중국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베이징에서 3번째로 개최되는 회담인 2차 6자회담에서 실질적인 성과가 이룩되기를 기대, 북-미 간 이견 조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후진타오 주석도 "결과 있는 회담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또 북핵 6자 회담을 계속 추진하기 위해 관련 당사국에 간에 실무자급으로 구성되는 일종의 사무국 설치를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로슈코프 차관은 오는 24-25일 워싱턴에서 켈리 차관보와 차기 6자 회담개최 문제를 논의한다. 그는 워싱턴으로 떠나기에 앞서 이타르-타스 통신과 가진 회견에서 "북핵 사태해결을 위한 미국 입장을 들어볼 생각"이라며 "미국의 대북 안전 보장 방안이 핵심의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징=연합뉴스) 조성대 특파원 sdcho@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