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강국으로 우뚝선 한국

우리나라는 지난 1884년 고종의 칙령으로 우정총국을 개설, 근대적 우편제도를 도입한 이후 118년만에 전세계가 인정하는 '정보통신강국'으로 우뚝섰다. 오는 22일은 고종의 우편제도 도입에 관한 칙령이 내려진 1884년 4월22일을 기념해 지정된 `제 47회 정보통신의 날'이다. 지난 1956년부터 `체신의 날'로 지정했다가 지난 94년 정보통신부 발족후 `정보통신의 날'로 이름이 바뀌었다. 정보통신의 날을 맞아 그동안 우리나라 정보통신의 발전모습을 되돌아 본다. ▲국가사회 정보화= 지난 96년 6월 마련된 정보화촉진기법계획에 따라 2010년까지 3단계로 나눠 추진한 결과 초고속인터넷 가입률이 55.2%로 전체 가구의 절반이 넘는 800만 가구에 달하고 있으며 인터넷 인구는 2천438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51.5%에 차지하고 있다. 또 정자정부 구현을 위해 작년부터 민.관 합동으로 전자정부특별위원회를 설치, 민원혁신서비스 등 11개 핵심 정보화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지난 99년에는 전자서명법, 전자거래기본법 등 전자상거래 관련 법률을 정비하는 등 공공 및 민간부분의 정보화에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해킹.바이러스 등 사이버테러와 같은 정보화 역기능 방지를 위해 지난 99년 정보화 역기능 방지 종합대책이 추진되고 있으며 정통부에는 정보보호 전담조직이 신설되고 작년 1월 정보통신기반 보호법이 제정됐다. ▲경제성장의 엔진으로 부상한 IT(정보기술)산업= 지난 98년부터 작년말까지 IT산업은 연평균 16.4%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국내 총생산 비중이 13.4%에 달하는 등 국가경제의 성장엔진으로 떠올랐다. 또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수출비중이 지난 97년 23%에서 27.2%로 늘었고 흑자규모 역시 최근 4년간 515억달러로 같은 기간의 전체 무역수지 흑지 842억달러의 61.2%에 달해 수출부문의 효자산업으로 자리를 잡았다. 특히 휴대폰의 경우 작년 한해동안 13조원어치를 수출, 지난 10년간 국내 최대수출품목이었던 반도체를 앞섰다. 정통부는 올해에는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초고속인터넷, 시스템통합 등 10대 전략 IT품목을 발굴하고 이 품목들에 대해 수출 510억달러, 무역흑자 150억달러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통신대국의 위상= 휴대폰서비스가 시작된 지난 84년 3천명에 불과했던 휴대폰 가입자가 지난 97년 10월부터 PCS(개인휴대단말기) 서비스가 시작돼 경쟁상황을 맞으면서 지난 3월 3천만명(보급률 63%)을 넘어섰다. 유선전화도 1902년 가입자 13명으로 서비스가 시작된지 100년만에 지난 2월말 현재 2천288만명으로 늘어났다. 지난 96년CDMA를 세계최초로 상용화함으로써 CDMA종주국으로 떠오른 데 이어 미국, 남미, 일본, 중국을 비롯해 베트남, 미얀마, 인도, 싱가포르 등 아시아국가들이잇따라 CDMA를 도입키로 결정, 우리나라는 `아시아.태평양 CDMA벨트'의 중심국의 자리를 확고히 굳혔다. (서울=연합뉴스) 이정내기자 jnlee@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