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혁신과 SCM] 국내 13여건 상품정보 총망라 .. '코리안네트'

한국을 대표하는 전자카탈로그를 표방하는 "코리안네트(KorEANnet)"는 "Korea"와 국제표준 상품코드 체계인 "EAN",통신망을 뜻하는 "network"가 합쳐진 명칭이다. 코리안네트엔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는 13만여건 상품정보가 총망라돼 있어 기업들은 이들 상품정보를 표준화된 전자적 양식으로 취득,유지,교환할 수 있다. 코리안네트는 향후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국내 모든 상품 정보의 중앙저장소(Central Repository)로서 B2B 전자상거래 촉진을 위한 기반 인프라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코리안네트가 특정기업 특정분야를 위한 전자카탈로그가 아닌 명실상부한 업계 전반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상품정보DB 구축 및 등록업체 현황=2002년 3월말 현재 국내 할인점 수퍼마켓 편의점 등 일반 소매유통업체에서 판매 유통되는 13만53건의 상품에 대한 세부정보가 코리안네트에 구축됐다. 식품이 5만7천71건으로 가장 많고 일용품(3만9천47건) 문화용품(12만3백33건) 의류.신변잡화.스포츠용품(1만1천4백71건) 내구소비재(3천1백31건)등의 순이다. 개별 상품별로도 바코드 상품명 상품규격 분류코드 포장형태 이미지 취급주의사항 물류포장규격 파렛트포장규격 등 B2B 거래에 필요한 1백17개 정보가 담겨져 있다. 한국유통정보센터 노시종 상무는 "할인점에서 취급하는 상품수가 평균 4만5천여건이고 수퍼마켓은 1만5천여건인 점을 감안하면 국내에서 유통되는 97% 이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망라돼 있는 셈"이라고 설명한다. 코리안네트에 등록된 업체수도 유통 제조 물류 서비스사업자 등 총 5맥49개에 달한다. 유통업체로는 신세계 이마트 현대백화전 LG유통 등 8개사,제조 물류업체는 한국P&G 유니레버코리아 한국존슨앤존슨 풀무원 동양제과 오뚜기 현대택배 한국물류 CJ GLS등 5백3개 회사이다. EDI/VAN서비스업체인 데이콥 신세계I&C 롯데정보통신 등과 이마켓플레이스(e-Marketplace) 업체인 푸드머스 이씨플라자 이포넷 등 38개사도 등록돼 있다. 코리안네트의 특징 및 활용=코이안네트는 SCM과 전자상거래시 거래기업간에 필요한 상품 및 거래처정보를 표준화된 포맷으로 상호 교환하거나 공유할 수 있는게 특징이다. 공급망내의 제조 물류 유통업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정보 활용이 가능하다. 기존의 전자카탈로그가 개별기업 차원에서 특정분야에 한해 비표준으로 구축,운영돼온 반면 코리안네트는 상품식별표준 분류표준 속성표준 등을 국제표준과 그 권고안에 기반해 개발된 것도 혁신적이다. 상품식별표준으로는 전세계 98개국에서 사용되는 EAN,국제상품코드관리기관(EAN International)에서 권고한 상품속성 표준가이드라인인 GDAS,상품분류체계로는 UN/SPSC을 채택한 것이다. 국내 유통상품이 총망라된 코리안네트의 등장은 수발주 재고관리 매장관리 물류 등 여러 분야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먼저 제조업체에서 출시된 신상품정보가 코리안네트에 등록되면 물류 유통업체로 표준화된 상품정보가 자동적으로 통지돼 거래기업간 상품 정보의 무결성이 확보된다. 또 정확한 단품(EAN/UCC-13)및 박스(EAN-14)정보는 효율적인 재고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해당상품에 대한 이미지 및 규격정보를 이용,뮤통업체가 매장내의 진열과 매대관리를 최적화할수도 있다. 상품의 규격과 중량,팔렛트 정보로는 상품의 적재 운송 등에 적용돼 물류비 절감에도 한몫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상거개 측면에서도 그동안 독자적으로 상품정보를 구축해 운영하던 사이버쇼핑몰 등 전자상거래업체들이 코리안네트를 이용해 한층 표준화된 거래관행을 갖추게될 것으로 기대된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