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학업성취도 비교 주요내용

4일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 결과는 '평준화'에 주력하는 우리 학교 교육의 성과와 문제점을 동시에 보여준다. 읽기와 수학, 과학 성취도를 평가한 결과 우리 고교생 전체의 성취도는 OECD 회원국중 거의 최상위권이지만, 최상위 5%의 성취도는 읽기의 경우 최하위이고 수학, 과학은 6위와 5위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최상위권 학생의 성취도가 떨어지는 것은 곧바로 고급 인력의 경쟁력 약화와도 연결돼 국가경쟁력에 상당한 타격이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이번 읽기 성취도 평가는 단순히 글을 읽을 줄 아는 기술적 능력이 아니라 학교 안팎에서 접하는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읽고 의미를 구성하고 비평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했다는 점에서 우리 최상위권의 순위가 최하위라는 점은 걱정스럽다. 우리 학생들의 읽기와 수학에 대한 흥미도가 최하위 수준이며, 흥미도에 따른 점수 격차가 큰 것 또한 장기적인 성취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PISA의 특징 = 학교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장차 사회에 나가서 생산적인 역할을 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를 점검하기 위한 국제비교연구이다. 학교 교육과정에 근거한 지식보다는 실생활에 필요한 응용력을 점검하는 평가로OECD 회원국가에서 의무교육이 종료되는 시점인 만 15세 학생들이 평가대상이 됐다. 98년부터 2006년까지 3년 단위로 세 차례의 정기적인 평가를 하며 그 1차연도 평가결과가 이번에 공개됐다. 1차연도 평가는 읽기 중심으로 수학, 과학은 부수적인 평가영역이었고, 2004년발표될 2차연도는 수학 중심, 2007년 발표될 3차연도는 과학 중심이다. ◇우리학생들 전반적 성취도 높다 = 국내 학생 전체의 학업성취도는 읽기 6위, 수학 2위, 과학 1위로 3과목 모두 OECD 국가 평균을 훨씬 웃돌았으며, 6위인 읽기도순위는 6위지만 3∼5위 국가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국내 학생 중 기초적인 읽기 소양 수준을 갖춘 학생 비율이 99%로 OECD 국가 중가장 높았고, 국내 학생중 최하위 5%의 점수는 다른 OECD 국가 최하위 5% 학생의 점수에 비해 상당히 높았다. 읽기에서 국내 학생 중 OECD에서 설정한 보통소양수준 (3∼5수준)을 갖춘 학생비율도 75.6% 로 핀란드에 이어 두번째로 높아 우리 학생들의 전반적 성취도는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우리 학생들은 읽기는 OECD 국가 중 성취도 격차가 가장 작고, 수학은 네번째, 과학은 두번째로 적어서 `평준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최상위 성취도는 우려 = OECD에서 설정한 읽기의 5가지 수준 중 최상위에 속하는 5수준에 도달한 국내 학생 비율은 5.7%로 뉴질랜드(19%), 핀란드와 호주(18%), 영국(16%) 등과 비교할 때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국제 순위에서 우리나라보다 뒤지는 미국, 아일랜드, 벨기에, 노르웨이, 스웨덴등도 5수준에 해당하는 학생의 비율이 우리나라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 OECD 국가별로 최상위 5% 학생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읽기는 20위로 떨어졌고 수학은 6위, 과학은 5위였다. 특히 읽기의 경우 국내 상위 5% 학생의 점수는 뉴질랜드 상위 5% 학생에 비해 64점이나 낮았다. 학생 전체 학업성취도가 읽기 6위, 수학 1위, 과학 2위로 우리와 비슷했던 일본은 최상위 5% 학생의 성취도는 읽기 13위, 수학 2위, 과학 1위로 우리보다 훨씬 높았다. ◇싫은 공부 억지로 한다 =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당 과목 흥미도와 자아개념,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물은 설문조사에는 20개국이 참여한 가운데 우리 학생들의 순위가 최하위권이었다. '읽기(수학)가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흥미도 조사에서 국내 학생은 설문에 응한 20개국 중 읽기와 수학 각각 19위에 그쳤고, '나는 읽기(수학)를 잘한다'라고 생각하는 자아개념도 20개국 중 최하위였다. 수학의 경우 흥미도에 따른 점수차가 매우 커 흥미도가 가장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점수차가 20개국 중 가장 컸다. 협동적 학습에 대한 선호도도 20개국 중 최하위, 경쟁적 학습 전략에 대한 선호도도 OECD 평균보다 낮았다. ◇여학생 성취도 낮다 = 여학생은 읽기에서, 남학생은 수학과 과학에서 앞섰다. 그러나 읽기 점수에서 여학생과 남학생의 점수차는 OECD 국가중에서 가장 적은 반면, 수학과 과학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점수차는 OECD 국가중 가장 컸다. OECD 국가 중 읽기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국가에서 여학생이 우위를 보였지만 수학은 절반정도에서만, 과학은 6개 국가에서만 남학생이 조금 앞섰고, 나머지 국가에서는 남녀간 차이가 없었던 것과 비교하면 두드러진 특징이다. (서울=연합뉴스) 조채희 기자 chaehee@yonhapnews.co.kr

핫이슈